최근 아파트는 화장실 천장에 냉/온수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은 별 문제가 없는데, 이 분배기에서 물이 떨어지는 하자가 가끔 생긴다.
이 분배기는 윗집에서 사용하는 물배관이라서, 윗집과 아랫집 사이의 풀리지 않는 반목의 원인이 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물론 쉽지 않겠지만) 상향 배관이 아닌 하향 배관으로 변경을 하여, 해당 분배기는 해당 세대가 사용하는 배관을 위한 분배기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만약 년중 계절을 가리지 않고 소량의 물이 떨어지면 대부분 샤워 후 환기휀 가동을 소극적으로 운영하여, 실내 습기가 냉수배관을 만나 생기는 결로 현상일 가능성이 극히 높다.
이 현상은 항상 냉수배관에 생기고, 배관 속에서 떨어지는 것 보다 노출된 배관의 표면에 생기게 되는 것으로 간접 확인이 가능하고, 정상적으로 환기휀을 가동할 경우 충분히 억제가 가능하다.
현상은 아래와 같다.
이처럼 표면에 생기는 물이 아닌 배관 속에서 떨어질 경우 문제는 복잡해진다.
한가지는 배관 속에서 물이 떨어지는데, 계절을 타지 않는 누수현상이며, 주로 온수배관 쪽에서 누수가 생긴다. (온수배관은 뜨거운 물이 흐를 때 배관이 많이 늘어나면서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더 취약해 지기 때문이다.)
먼저 분배기가 각 위생기기로 연결되는 상태를 이해해야 하는데, 냉온수 배관은 공배관을 통과하여 각 기기로 연결이 된다. 그 중간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다.
대부분의 하자는 A 에서 나타난다.
위생기기와 배관을 연결하는 부속에서의 연결 불량 혹은 노후화로 인한 누수가 공배관을 따라서 떨어지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높다.
누수검사에서 누수가 확인되는 경우도 있지만, 미세누수일 경우 확인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해당 배관을 전체 교체를 하면서 연결부속을 교체하면 해결될 수 있다.
물론 해당 수도꼭지 (그 것이 샤워꼭지일 수도 있음) 와 그 주변의 타일의 손상을 감수해야 한다.
두번째는 공사 중에 배관에 미세한 상처 (주로 타카핀)가 있는 경우이다. (B)
이 역시 누수검사로 확인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해당 배관 교체로 해결될 수 있다.
세번째는 조금 심각한데...
배관이 하나로 수도꼭지 까지 가지 않고, 콘크리트 매립된 속에서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배관을 이었는데, 그 이음 부속에서 누수가 생긴 경우이다. (C)
이 경우도 그 양에 따라서 누수검사로 확인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원척적으로 배관 교체가 불가능하고,
콘크리트 속의 배관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이 배관을 사용하지 않던가, 벽을 일부 철거해서 같은 공간의 다른 수도꼭지에서 새로운 배관을 만들어 넣어야 한다.
다만 아파트에서 이럴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분배기를 사용하는 이유가, 벽 속에서 잇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이런 경우는 대부분 배관을 새로 교체하는 것으로 해결이 될 수 있다.
어려운 문제는 누수가 겨울철에만 생기고, 그 것도 배관의 표면이 아닌 배관의 속에서 떨어진다는 것이다.
맨 위의 첫번째 사진이 그 사례이다.
겨울에만 떨어진 다는 것은 결로수라는 의미인데, 온수배관 그 표면에는 '온수'이기에 표면 결로는 생길 수 없다. 그러므로 어딘가 생긴 결로수가 이 배관을 타고 내려온다는 것인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분배기로 부터 수도꼭지까지 하나의 공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어딘가에서 생긴 결로수가 이 공배관 속으로 들어올 확률이 극히 낮기에 원인 파악이 극히 어렵다.
상상을 해보면, 결로수의 유입경로는 크게 두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한가지는 (타일 뒷면의) 해당 결로수가 연결부속 뒤의 공배관 입구로 들어간 경우 (A)
다만 확률은 낮으며, 이 경우는 배관을 교체하면 간접 확인과 해결이 가능하다.
두번째는 공배관의 표면 상처 틈새로 결로수가 들어간 경우 (B)
이 경우는 화장실 방수 공사를 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도 있다. 바닥의 물이 배관까지 간다는 의미는 방수의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위에 설명한 것처럼 배관을 중간에서 이어서 연결한 경우이다. 이는 배관을 교체하면서, 교체할 수 없다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다만 이 역시 화장실 방수가 문제 있다는 의미이므로, 방수 공사를 함으로써 해결될 수도 있다.
다만, 방수의 문제도 확인이 되어야 하지만.. 방수공사를 한다는 것이 말이 쉬울 뿐, 화장실 바닥으로 모두 철거하고 새로 처음부터 공사가 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누수를 유발한(?) 층이나, 그 아랫집이나 서로 난감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공사를 하기 전에 이 결로수가 어디로 부터 유입된 것인가를 알아야 하는데... (물론 알아도 방수공사를 하는 것 보다 더 해결이 어려울 수도 있다.)
가장 높은 확률은 화장실과 붙어 있는 공용배관 공간 (PD라고 불리는) 속에서 결로수가 생기고, 그 것이 화장실 바닥으로 흘러들어간 경우이다.
주로 옥상으로 연결된 통기관을 표면의 결로수가 PD 바닥으로 흘러 모이고 있는 경우가 해당되면, 주로 탑층 또는 탑층과 가까운 세대가 해당된다.
다만, 이런 식의 시공을 한 아파트는 (비교적 최근에 생긴) 천장 분배기가 시공되지 않았을 것이기에, 서로 연관이 없을 수 있다.
혹은 아래처럼, 해당 PD가 외기에 노출된 경우라면 층수와 상관없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는 심지어 샤워 습기가 들어가서 결로수가 될 수도 있는 조건이다.
이 것은 해당 PD 공간에 점검구가 있다면 그 점검구로.. 아니라면 드릴로 구멍을 낸 후에 내새경카메라를 이용해서, PD 바닥에 고여있는 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어려운 점은, 이 것을 알더라도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며, 관리사무소와 기밀한 협의/협조가 필요한데, 적극적 협조를 받더라도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1. 윗집 화장실바닥 방수층의 문제로 물이 내려오거나 혹은 단열 문제?등으로 어딘가에 결로수가 생긴것이
통배관의 미세한 금으로 흘려들어가 배관안쪽에서 물이 떨어질수있다고 이해하면될까요?
그럼, 겨울에만 발생하는것이니 방수층보단 단열? 이상으로 인한 결로발생으로 추정할수있을까요?
2. 도면과 구조를 봐야알겠지만, 옥상의 통기관의 결로수가 우연치않게 특정 통배관으로 떨어지고 통배관표면의 미세 금으로 인해서 통배관 안쪽에서 물이 떨어진다고 추정할수있는문제일까요?
3. 추가로 통기관과 세대내에 연결되는 도면과 각세대 혹은 아파트 공용 수도배관,난방배관,공용배관,오수관,배수관의 도면을 보고싶으면 어떤도면을 관리사무소에 요청해야할까요? 인터넷에서 조회가 가능할까요?
만약 공용배관 결로 문제일 경우 비용은 누가 처리해야하나요?
2. 그건 너무 거리가 먼 이야기같으며, 결로수가 바닥 전체에 결쳐서 있을 것이고, 그 것이 손상된 배관을 따라 생길 확률이 더 높습니다.
3. 세대 설비도면 (위생, 난방, 오수, 하수 배관도)을 보시면 되세요.
---------
공용배관 자체의 누수라기 보다는 공용배관이 지나가는 공간(PD) 내부에서의 결로 또는 옥상의 누수가 그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라고 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글과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3582
공용의 문제라면 보수 비용은 공용 비용으로 하게 됩니다.
------
다만 이 모든 것을 떠나서.. 본문에 적은 바와 같이, 우선은 해당 배관을 교체하는 작업을 선행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수치는 오히려 미세하고올라갔지만 별침은 돌아가는현상이였는데 배관문제일수있을까요?
2.온수만 일주일정도 잠궈보고 지켜보면 알수있다고하는데, 전체를 잠구는것보다 누수가발생되는 위치만 잠궈서 확인하는게 정확할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수있을까요..?
3. 화장실 2곳의 수화기수전쪽이 물이 뚝뚝 떨어지는현상이있는데 이것때문에 온수의 별침만 움직일수있을까요?
4. 현재 온수만 변화되다보니 모든수전(세탁기,정수기,변기쪽 잠구고 주방,화장실 세면대/수화기모두 물은틀지않고 냉수쪽으로 돌려만 놓기)을 해놓으면 좀더 검사가 정확히알수있을까요?
5. 현재 특정위치인 욕조배관에만 떨어지니 만약 온수배관이 문제라면 욕조온수배관만 문제가있다고 판단할수있을까요?
1. 물안쓰는시간대를 정해놓고 전후 계량기 수치변화를 보고싶은데 원인을밝히는데 도움이될까요??
2. 누수발생년도 여름에 계량기쪽 감압밸브를 관리사무소쪽에서 교체한이력이 갑자기 생각났는데 해당 원인으로 발생할수도 있을까요?
2-1. 이 것은 아래 5번과 같은 연장선의 질문으로 보여서, 하나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하시되, 별침이 계속 돌아간다면 배관을 하나씩 옮겨 보면서 확인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1. 해당 배관이 온수배관이라면 그럴 수 있습니다.
4.-1 수도꼭지의 냉온수 방향과는 무관해 보입니다.
1-2. 별침이 돌아간다는 것으로 이미 확인이 된 것이기에, 말씀하신대로 하는 것으로 어떤 것을 더 추가 확인이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2. 해당 밸브에서의 누수가 없다면 서로 무관해 보입니다.
제가 했던방법은 메인배관에 있는 밸브를 잠궜다열어서하는 방법으로한거고, 각 배관에 나비밸브는 없는상황입니다.
위에 말씀드린것처럼 위치별 각배관은 나비밸브가없는상황이라 위치별로 옮기면서 할수있는방법이 없는상황입니다.
해당 회사에 의뢰를 하시면 되실 거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