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환경은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적응한 생활양식과 함께 개선되고 있습니다. 체온조절의 부담이 가장 적은 온도, 다시 말하면 덥지도 춥지도 않는 최적온도는 18℃ 정도이며, 15.6~20℃ 정도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려면 온도 외에도 습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습도가 3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좋지 않고, 40~70% 정도면 대체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쾌적함을 주는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5℃에서는 70%정도, 18~20℃에서는 60%, 21~23℃에서는 50%, 24℃ 이상에서는 40%가 적당한 습도입니다.
사람이 느끼는 춥고 덥다는 감각은 겨울은 추위에 대하여, 여름은 더위에 대하여 민감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 같은 기온이라 하더라도 봄에는 가을보다 보통 두껍게 옷을 입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항들이 복합되어 최적온도는 겨울에는 낮아지고 여름에는 높아집니다.
열적쾌적은 예상평균온열감(Predict Mean Vote, PMV)라는 방법으로 계산이 가능한데 PMV에서는 6가지 항목으로 열적 쾌적을 계산합니다.
계산 항목으로는 온도(Temp), 복사온도(mrt), 습도(rh), 기류(wind), 신진대사량(met), 착의량(clo)가 포함 되는데요. 앞서 정해갑 선생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온습 환경 및 착의량(Clo)의 변화에 따른 쾌적조건의 대략 계산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보시면 열적 쾌적도를 계산해 보실수도 있습니다.
쾌적한 범위는 -0.5 ~ +0.5 정도 입니다.
http://www.healthyheating.com/solutions.htm#.WPGVqOS1s77
http://web.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mode=view&num=63
Q> 실내 적정온도와 습도를 알고 싶습니다.
A>
사람이 살고 있는 주거환경은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적응한 생활양식과 함께 개선되고 있습니다. 체온조절의 부담이 가장 적은 온도, 다시 말하면 덥지도 춥지도 않는 최적온도는 18℃ 정도이며, 15.6~20℃ 정도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려면 온도 외에도 습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습도가 30% 미만이거나 80% 이상이면 좋지 않고, 40~70% 정도면 대체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쾌적함을 주는 습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5℃에서는 70%정도, 18~20℃에서는 60%, 21~23℃에서는 50%, 24℃ 이상에서는 40%가 적당한 습도입니다.
사람이 느끼는 춥고 덥다는 감각은 겨울은 추위에 대하여, 여름은 더위에 대하여 민감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 같은 기온이라 하더라도 봄에는 가을보다 보통 두껍게 옷을 입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항들이 복합되어 최적온도는 겨울에는 낮아지고 여름에는 높아집니다.
계산 항목으로는 온도(Temp), 복사온도(mrt), 습도(rh), 기류(wind), 신진대사량(met), 착의량(clo)가 포함 되는데요. 앞서 정해갑 선생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온습 환경 및 착의량(Clo)의 변화에 따른 쾌적조건의 대략 계산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보시면 열적 쾌적도를 계산해 보실수도 있습니다.
쾌적한 범위는 -0.5 ~ +0.5 정도 입니다.
http://www.healthyheating.com/solutions.htm#.WPGVqOS1s77
적정습도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던지, 계절따라 같은 온도라도 느낌이 달라진다던지 한다는 내용에 대해 그 이유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있는 자료를 좀 소개해 주실 수 있나요? 좀 더 공부해보고 싶어서입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2_06&wr_id=35
http://kocw-n.xcache.kinxcdn.com/data/document/2020/hanseo/parktongso0812/0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