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열회수장치 열교환소자내부 응축수

이런 저런 이야기

설계/시공/하자 등의 모든 질문 글은 해당 게시판에 해주세요.

여기에 적으시면 답변 드리지 않습니다.

 

여름에 열회수장치 열교환소자내부 응축수

6 gklee 6 670 2023.04.18 20:28
응축수가 맺히는게 온도가 높은쪽면이잖습니까? 그래서 겨울철엔 소자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쪽이 온도가 높으므로 응축수가 맺혀도 거기 맺힐것이므로 거기서 발생하는 곰팡이가 있어도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들은것같구요. 그런데 여름철엔 반대가 되지않나요? 에어컨으로 식혀진 공기가 빠져나가고 온습도가 높은 외기가 거쳐오면서 응축수가 상시 맺혀있게될것같은데 이부분 걱정해야하는 부분인가요? 이 집에서 여름을 몇번 나는동안 여름엔 거의 에어컨을 24시간 켜두고 자기가 알아서 실외기만 꺼졌다 켜졌다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아니면 여름철의 배출/흡입되는 공기의 온습도차이가 겨울철보다는 적기때문에 괜찮다 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Comments

10 잡자재 2023.04.18 22:33
말씀하신데로 여름철에는 OA가 냉각되면서 습도교환율이 커버할 수 있는 이상의 결로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발생하는 수분의 양은 열교환소자의 습도교환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찌됐던 결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만 그걸 대비하기 위해 드레인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열교환기를 끄지 않는다면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6 gklee 2023.04.20 12:33
저희제품도 그런 대비가 되어있는지 모르겠군요.. 감사합니다.
4 HVAC 2023.04.25 15:30
결로란 노점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서 건조공기중의 수증기압이 포화수증기압력보다 높아질때 온도가 낮은 표면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포화수증기가 여름에는 외기와 실내 조건 모두 낮습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전열열교환기에서는 생기기 어렵습니다. 단, 전열열교환 소자가 현열 특성이 더 높을경우는 생길수 있습니다. 참고로 병원등 말씀하신 곰팡이, 미생물 우려가 있는 건축물은 현열 열교환기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ASHRAE170, 질병관리청 음압 병실 환기 기준)
G 무식장이 2023.05.24 10:21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끄지 않는 것이군요!!
1년반이 되어 가는데 열교환소자 한번 꺼내봐야겠어요.^^
G 이영국 04.12 17:09
전열교환기 : OA급기측, RA-EA 배기측라인중. 실내습도가 55%이상 높고 효율이 좋으면 결로 ,결빙 발생합니다. 반대로 효율이 낮으면 더 낮은 외기 온도에서 발생합니다. 외기측이 습이 많고 배기 측도 습이 많으면 그냥 습기흡수한 종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물론 가동을 꺼지 않으면 좋지만 야간에 시끄러워 안껄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이것은 모터의 특성인듯합니다.

현열교환기 "RA-EA 배기측라인중 결로가 발생하지만 결빙은 안됩니다. 영하 20도 까지 시험해 본결과. 영상 8도에서 0도 까지 중에 발생함. 단 급기(OA) 배기(EA) 온도 차이가 8도 이내시 발생안함. 즉 외기 와 배출되는 EA측에 가까운 순간 부터 결로발생.

전열교환기의 습도 에너지와 현열 에너지를 직접 비교하거나 할수 없지만 온도계를 사용시 전체 열교환 효율이 높은게 좋습니다. 전열교환기 습기 에너지는 에어컨 사용시 응축수 배출되는 에너지가 더 큽니다. 실재 50%의 공간에서 습기 에너지는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에너지에 비할바는 아닙니다. 아주 적죠/ 그러나 실재 전열교환기의 필터 교체가 정말 어렵습니다.

누가 한두달에 한번,장마오고 한번.겨울에 한번.봄 꽂가루 날리면 한번. 외부공사해서 먼지 유입되면 한번 이렇게 교환하기 쉽지 않읍니다. 교육부의 실내공기질 관리 규정에 외부 미세먼지가 많으면 환기장치 작동을 자제 하도록 되어 있지요 ,이것은 누기율 ,누설율이 많고 외부 오염이 일부 실내로 유입된다는 방증인거죠. 가장 좋은 것은 누기율,누설율 0에 가까운제품이 좋은것임.
전열교환기장점 :일부 습도 에너지를 실내로 재유입시킨다,단점 바이러스나 곰팡이 발생이 많다(관리하지 않으면)

영하 5도에 대기업도 5분가동 25분 정지,영하 10도 이하시 사용은 거의 불가능하여 배기만 한다.=어짜피 습도흡수가 종이방식의 전열교환기가 현열교환기보다 많기 때문에 자연의 법칙인거죠
현열교환기장점: 기밀성이 좋으면 거의 무오염이고 곰팡이등 세균걱정없고 아무리 추워도 결빙은 안된다.24시간 환기된다.이렇게 정리할수 있겟죠? 미국이 코로나 발생이후 부터 감염취약시설에 현열방식만 사용하도록 규정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환기장치의 목적은 환기가 우선입니다. 그다음 환기를 365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인거죠

전열교환기가 무슨 습도를 유지해주는 양 광고하는것은 사기입니다. 양심을 파는 인간들이죠, 습도유지는 제습기나 가습기가 합니다.전열교환기 습기 잘 유지해주면 가습기 .제습기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거죠?

전열이 습도 유지가 아니라 습도 에너지를 일부 흡수 실내로 공급한다 이게 장점이지만 세균과 코로나시 바이러스 확산의 주범이 었고 냄새 솔직히 관리 하지 않으면 환기가 되나 싶을 정도로 많이 나지요.정말 좋으면 사용자는 24시간 사용합니다.

전열 현열 둘만의 특성이 있고 어떤것이던 기밀성이 좋고 누기율이 낮고 관리 잘되면 에너지 효율 높으면 좋읍니다. 효율높아서 사용이 힘든건 제조사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정말 누군가 필터를 청소를 해주면 땡큐이지만. 시설에서도 관리를 안하는 게 현실이죠. 귀찮고 시끄럽고,돈 들고 등등의 이유로 방치되는게 현실이죠. 실제 동작하거나 사용자가0.1%될까요?

우리나라도 저가제품보다 실재 사용할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사회 문제 입니다. 잠열이고 엔탈피고 이른 이론보다 실험실 시험치보다 더 중용한건 실제 생활환경에 따른 365일 사용한지 아닌지.제약이 있나 없나가 공기질 개선에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습도에너지 중요하다 ,겨울철 한파시 결빙시에는 환기 필요없다,필터,열교환소자 자주 교환한다. 그러면 전열교환기 선택하고
 겨울도 환기장치 사용하고 싶고 습도보다 오염이 나 공기질 개선이 중요하다 ,제습기 가습기 사용한다.오로지 공기만 좋으면 된다. 이러면 현열 방식 선택하시고  하심 됩니다. -기관지가 좋지 않는 기술인이 꺼적여 봅니다.
M 관리자 04.13 22:25
감사합니다.
필터 관리의 문제는 .. 그나마 아래와 같은 제품으로 극복하려고 노력 중에 있습니다.
https://jabjaje.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313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