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실 배전함 누수로 인해 아랫집 요청에 따라 세탁실에 담수테스트를 물높이 4~5cm, 기간은 3일을 요구하셔서 진행하던 중47시간정도에 아랫집 배전함에 누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게시글에서 욕실을 기준으로 했을때 물높이를 높게 하면 압력이 높아져 물높이를 높게 하지 않아야하고 또한 24시간동안 물이 세지 않았으면 방수층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는 댓글이 있었는데 어느 것이 맞나요?
그리고 아랫집에서 누수공사를 진행할때 우레탄으로 해줄 것을 요청했는데 게시물들을 살펴보니 늘어짐이 있고 타일접착제도 우레탄 방수에 맞춰 해야하는 것을 확인했는데 세탁실에 우레탄 방수를 하는 것이 맞나요? 아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액체방수로 해도 무관할까요? (아랫집에서는 방수공사를 한 후 다시 담수테스트(물높이 5cm에 48시간)를 해야한다고 주장하심)
1.세탁실 담수테스트는 어떤 기준으로 해야하나요?
(국토해양부 기준이라고 아랫집에서 그러셨는데 맞나요?)
2.세탁실 방수 재료는 액체방수가 맞나요 아님 우레탄 방수로 하는 것이 맞나요?
답변 꼭 부탁드릴께요. ㅠㅠ
실내에서 4cm 높이까지 물이 채워질 상황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정도 높이라면 수압이 너무 높기도 하지만, 그 정도 높이까지의 물을 고려하여 방수 공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없던 누수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실내 방수는 대개의 경우 1cm 정도만 채웁니다.
시간은 큰 의미없습니다. 48시간을 해서 누수가 생겼다면 24시간도 누수니까요. 다만 그 시간을 넉넉히 잡는 것은 미세하게 생긴 누수를 아래쪽에서 확인할 때 까지 시간이 필요해서일 뿐입니다.
2.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을 드려야 하는데요.
액체방수는 마음의 방수일 뿐 실제적인 방수의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모든 아파트에서는 액체방수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실은 그러합니다.
또한 아파트 방수 공사를 하시는 분들 중에 액체방수 이외의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신 분도, 해보신 분도 거의 없는 것도 사실이고요.
그러므로 액체방수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강제할 방법은 (일상의 수준에서) 달리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 누수가 생긴 것처럼... 보수 공사 후 방수의 건전성을 아무도 알 수 없을 텐데, 이를 다시 선택하실 지는 사용자가 결정을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