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테리어를 새로 하면서 난간을 교체하였습니다.
교체 후 보니 난간대가 외벽에서 밖으로 나가 있는 채 고정이 되어 있고 흔들면 흔들려서 불안합니다.
업체 말로는 저희 집 구조상 그렇게밖에 안 된다고 하고 원래 단창이던 것을 이중창으로 바꿔서 샷시 밖에 남은 바닥 콘크리트 구조가 좁아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저희 집 좌측이 대각선 모양으로 꺾인 구조인데 그래서 그렇다는 힉으로 말하는데 대각선 모양이어도 집 샷시 쪽으로 바짝 붙이면 될 것 같은데요;
흔들리는 것은 스텐이리스 구조이고 저희 집 난간이 거실주터 안방 앞 발코니쪽까지 1개로 이어져 긴 구조물이라 그런건데 원래 길면 그럴 수 있어서 괜찮다고 하구요.
추가로 보강은 필요없다는 식으로 말하는데 괜찮은가요? 실외기도 난간에 매달아 두었는데 불안해서요 (실외기는 저희 아파트는 모두 밖에 달아서 단 건데 불안해서 안에 넣을까도 했는데 관이 매립되어 불가하다네요)
난간이 중간에 꺾여져 있는데요. 그 꺾인 부위에 벽체는 없고 창문 프레임만 있나요?
난간 지지하는 부분은 좌우 양측이고 바닥의 역할은 미미해서 괜찮은 건가요?
뭔가 바닥에 봉이 박혀 있으면 안전해보일 것 같은데 공중에 난간대에 매달린? 느낌이라 제가 불안한 것 같습니다..
느낌으로 불안하실 수는 있겠으나, 그게 탈락 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말씀드린 바와 같이 꺾인 부분의 근처에 고정이 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며, 그렇다고 하시니 문제는 없는 상황입니다.
한 가지만 더 여쭐게요
꺾인 부분의 용접이 사진상 동그라미 표시된 부분은 아르곤 용접인 것 같고 삼각형 부분은 아닌 것 같은데 삼각형처럼 용접된 곳이 대부분이라 아르곤 용접을 요청하니 난간 해 준 곳에서는 자기네 용접은 잘 되어 있다고 아르곤 용접은 어렵다고 하는데요..표시된 용접 같은 것은 잘 된 것은 맞나요? 뭔가 용접 부위가 떨어져 나간 것 같아서요ㅠ
동의어의 반복이긴 합니다만, 이 꺽인 부위 근처에 건물과의 연결 부위(붉인 색)가 있다면 무리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림에서 빨간 부분이 건물과의 연결부위라고 하셨는데..저희 집은 저런 구조는 아니고 꺾인 부분 지나서 벽에 고정이 되어 있다는 말씀이었어요
꺽인 부분 보이는 곳 너머 쪽 벽에 고정된 부분 사진 첨부합니다.
그림을 제가 이해를 잘 못한 것이고 저희 집 구조면 괜찮다는 말씀이신건지요?
난간대는 당연히 양쪽 끝이 벽 어딘가에 고정되어 있으니 그런 의미로 고정이 되어 있다는 것이지, 추가적으로 난간대 꺽인 부분 근처가 벽에 고정된 부분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말씀이에요. 혹 오해 있었을까 첨언합니다.
큰일은 없겠지만 그래도 안전하게 좋으니까요.
문제는 이것을 고정해줄 작업자분을 섭외해야하는데 그게 쉽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외부에 매달려 앵커 작업이 되어야 해서요.
잘 안되면 기대지않게 사용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실외기가 달려 있는데 괜찮겠지요?;;;
그리고 업체에서 정 불안하면 세로 봉을 가장자리에 하나 더 세우고 링밴드 같은 것으로 봉과 난간대를 묶어 준다는데 그렇다면 저 꺽인 부분 근처에 세워서 링밴드로 묶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아니면 링밴드는 너무 약해서 의미가 없을까요? 질문을 계속 해서 죄송합니다...
한번 이야기를 해보세요.
칼블럭이라도 아래와 같은 형태로 박을 수 있다면 가능합니다.
앙카가 가능하다면 왜 안 하고 굳이 칼블록으로 하는 것일지요? 기술이 어려운지 아니면 비용이 비싼 건지요;
그리고 추가로 세로로 꺽인 부분 근처에 봉 세우고 밴드로 난간대와 고정해준다고 하는데 그것도 칼블록으로 한다고 해서요. 6mm 칼블륵으로 해준다는데 괜찮겠지요?
위에 올려 드린 것은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고, 새로 올려 드린 것은 옆에서 본 모습입니다.
칼블럭이 더 저렴하고 쉽거든요.
칼블럭이 괜찮은지 아닌 지는 올려 드린 그림을 바탕으로 판단을 직접 하시던가, 고정될 위치를 사진찍어서 올려 주셔야 무언가 서로 오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제가 그려주신 그림으로 보기에는 칼블록 가능은 바닥의 수평면과 같이 수평으로 된 부분에 고정이 가능하고 앙카만 가능한 곳은 바닥과 수직으로 된 면에 고정하는 것이 차이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칼블럭은 화장실 벽면에 가구 같은 것을 거는 목적 정도의 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당기는 방향으로 박으면 소용이 없기에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