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문앞 누수 현상으로 질문 드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하자관련 질문/사례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화장실 문앞 누수 현상으로 질문 드립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G 지금 6 187 04.19 21:05

안녕하세요.
공지사항의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글을 읽고 하자사례를 검색하며 찾고 있었으나, 비슷한 글도 있지만 관리사무소도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어 조언을 얻고 싶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2022년 10월 오피스텔 신축 입주하였으며 누수가 발생되는 위치입니다.


이미지 2573.png

 

2024년 1월경 최초 누수 및 곰팡이 발생되었습니다.

이미지 2574.png

 

이미지 2575.png

 

이미지 2576.png
발생시 몰딩 제거 이후 장마기간이라 장마가 끝날때까지 물기가 마르는지 확인하였으며,
3월경 물기 제거 후 화장실 옆방에서 발생된 누수는 옆집 문제로 확인되었습니다.
4월경 화장실 문틀 및 수건걸이 위치에 실리콘 작업을 진행하였고,
5월경 관리사무소와 줄눈업자 방문하여 줄눈 시공 불량으로 줄눈 재시공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약 2개월간 확인시 물이 나오지 않는것으로 판단되어 바닥 몰딩 및 벽지를 교체하였습니다.

이후 아래 사진과 같이 25년 4월 화장실 문틀이 다시 부풀고 최초 발생되었던 하부 몰딩에서 물이 생겨,
화장실 앞 몰딩 및 문틀까지 다시 물이 부풀고 있습니다.

이미지 2577.png

 

이미지 2578.png

 

이미지 2579.png

 

이미지 2580.png

 

관리사무소에서 다행히 대응을 해주고는 있지만.. 기간도 오래 걸리고,
약속 일자도 지금까지 계속 변경되었고.. 원인도 찾지 못하여..
이제는 타일업자를 한번 수배해서 확인하겠다고 하는데.. 어떤게 원인일까요..
1월에 태어난 아기도 있는데 곰팡이가 있는게 너무 미안하고, 그렇다고 안씻길수도 없고,
대처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너무 답답하고 속상하여 조언을 구합니다.

(+ 줄눈이 원인이라고 하였던 줄눈 업자는 화장실 바닥을 다 들어내고 전부 공사를 해야하 한다며 이제와서 공사비용이 최소 650정도 발생된다고 하네요..

 

그때는 원인이 줄눈이라고 해서 했는데 누수 탐지도 안해보고 믿음이 안갑니다..)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04.19 23:19
안녕하세요.
불행히도 상상의 범위가 너무 넓은 데요.

우선... 옆집의 문제라고 하셨고, 해결이 되었다고 적어 주셨는데요. 그 문제는 무엇이고, 어떻게 보수가 되었는지 알고 계시나요?
G 지금 04.20 00:41
안녕하세요.

옆집에서 문제가 생긴건 옆방에 곰팡이가 생긴 문제였는데 원인은 잘 기억은 안나지만 옆집에서 안방쪽 화장실?에 누수가 의심되어 관리사무소에서 방문 요청했는데 방문하지 못해서 시간이 지나면서 물이 넘어왔다고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 후 옆집 보수 한 다음 저희집은 곰팡이 제거 후 도배를 새로 했습니다.

헷갈리셨겠지만 저희집은 사진상 보이는것과 같이 화장실 문틀과 바로앞 창고위치까지 몰딩이 부풀고 벽지에 곰팡이가 생기며, 화장실 안쪽 문틀에서는 물이 흐르는 상황입니다..
G 지금 04.20 00:52
물 발생하는 위치 전체 도면 사진에 표기하였습니다!
G 지금 04.20 00:57
정리해서 글 올려드립니다..!

옆집 문제는 사진상 표기된 화장실 옆 침실이며, 해당 문제는 옆집의 누수? 문제로 침실방에 곰팡이가 발생되어 도배 후 몰딩 교체하였습니다.

현재까지 발생되어 문의 드리는 위치는 표기된 화장실이며, 화장실 문틀 및 다용도실의 문틀,몰딩,벽지까지 물이 누수가되어 부풀고 곰팡이가 발생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화장실 안쪽의 하부 문틀에 실리콘을 제거해서 확인해본 결과 물이 차있어 손으로 누르면 물이 흐릅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M 관리자 04.20 09:50
현재의 상황은 이해를 하였습니다.
다만 이게 옆집의 문제가 진행 중인 것인지 (이 부분은 옆집에 문의를 해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고) 이 집의 문제인지가 불분명한데요.
무언가 조치를 하기 전에 우선은 각종 물배관에 대한 누수검사를 먼저 하는 것이 순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 역시 지금의 정보로는 어느 것이 원인인지 알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G 지금 04.20 15:52
네 알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