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샷시 가운데 내려앉음, 접합부 벌어짐.

하자관련 질문/사례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단독주택 샷시 가운데 내려앉음, 접합부 벌어짐.

G ㅇㅇ 10 194 04.13 15:10

안녕하세요 . 불철주야 고생많으십니다.

 

재작년에 창틀과 창문을 전부교체했는데요.

 

작년여름즈음부터 창문 가운데 부분이 가라앉고, 창틀의 아랫부분 귀퉁이 접합부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사진상에는 나오지 않는데, 창문레일 가운뎃 부분에 물이 고일정도로는 가라앉아 있습니다.

 

작년 늦가을에 이 문제를 알리고 시공하신 분이 사진을 찍어 창호 제조업체에 알릴거라고했는데 아직까지 연락이 없는 상태인지라

 

직접 해결할 수밖에 없을것같습니다. 방법이 있을까요, 집의 모든 창문이 이런 상태입니다.

Comments

G ㅇㅇ 04.13 15:19
작성자입니다.
시공 당시, 샷시 하단에 보철물을 안넣고 우레탄으로만 충진해서 일어난 일인거라고 생각은 되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했어야 할지도 의문입니다. 손가락 한마디 반정도의 공간에 기존샷시를 떼어낸 자리가 사실 그렇게 평탄하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각관같은걸 넣었어야 할까요. 사실 이미 벌어진 시점에서 교체 말고는 선택지가 없을것 같은데 궁금증은 가시질 않네요
G ㅇㅇ 04.13 15:21
밑을 받쳐주는 용도로 pb나 pvc재질로 된 얇고 긴 블록같은게 있으면 좋았을것 같은데 검색해도 나오질 않네요.
M 관리자 04.13 22:54
하부에 별다른 지지대가 없다면 필연의 결과로 보입니다.
틈새가 작다면 플라스틱 소재의 필러로 할 수도 있지만, 더 높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실내에서 창문 하단의 일부를 절개해서 틈새의 높이를 먼저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를 떠나서 모서리에 이 정도의 균열이 있다면 교체하는 것 외에 달리 방법은 없습니다.
G ㅇㅇ 04.14 00:32
감사합니다. 그나마 위안인것은 창문은 그대로고 창호만 교체한다는 것이겠네요. 2년이 지나서 아마 제값주고 해야겠지만.... 기왕이면 했던곳에 다시 말해볼까합니다.
G ㅇㅇ 04.14 00:36
혹시 하부 지지대를 어떻게 해야할지 알수 있을까요? 다시 사람을 부르면 알려주어야할 것 같습니다.

건물은 조적조로, 내부는 콘크리트 벽돌, 내부에 50t 스티로폼, 외부는 보시는 대로 적벽돌입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돌 - 스티로폼 - 적벽돌 사이에 공간이 상당합니다. 스티로폼이 130t까지 들어갈정도의 공간이었어요 그래서 창틀이랑 닿는 부분을 그냥 몰탈을 쳐서 공백을 막고 폼을 쏴서 올려놨는데...

이때 하부 지지대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사이 공간이 좀 좁고, 평탕하지가 않아서 철물로 앙카를 박는 작업이 제한될수도 있겠다 싶어서요.

플라스틱 필러가 혹시 따로 있을까요? 늘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4.14 17:37
그 정도 높이라면 고임재로 불가능하며, 몰탈 또는 시멘트벽돌로 높이를 다 채운 다음 고임재를 사용하던가 몰탈로 모두 채워야 합니다.
G ㅇㅇ 04.17 03:18
오해의 소지가 있게 쓴것 같습니다. 샷시가 130t 떠있다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실제로는 50? 에서 낮으면 30mm정도 떠있습니다.

1.그래도 하단은 고임목이다 벽돌을 댄뒤 몰탈 사춤을 하는게 좋겠지요?
2.유튜브같은데를 찾아보니 측면은 칼브럭을 뚫어서 고정하던데 이것도 필수일까요? 정말로 샷시 주변에는 폼밖에 안 쏴져있는 상태입니다
M 관리자 04.17 17:56
1. 50mm 면 벽돌은 안되고, 몰탈 사춤이 좋겠습니다.
2. 네 측면도 고정되어야 합니다. 조금 어려운 내요일 수 있겠으나, 아래 문서에 고정 방법 등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4611
G ㅇㅇ 04.18 12:49
감사합니다. 읽어보니 칼브럭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 고정철물을 사용하라고 하는데, 그림과 같은 중단열 구조의 주택에서 사용가능한 방법일까요? 밑의 5cm는 잘못 기입된 것이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벽면은 내벽 외벽 둘다 0.5b입니다.
M 관리자 04.18 14:16
가능한 방법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분이 작업을 해야 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