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하자는 '외벽에 면한 T형 슬래브 하부에 결로방지단열재가 설치된 우각부에 발생한 결로'입니다.
현상은 얼핏 단열공사 하자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만, 현장 공사 과정상 골조공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렇게 보는 이유는 결로방지단열재를 골조공사에서 시공하기 때문이며, 골조공사는 하자기간이 마감공사에 비해 깁니다. 그러므로 입주 후 2년이 지났다면 이런 점을 들어서 하자보수를 신청하십시오.
해당 부위는 공동주택에서 결로발생 순위를 매기자면 부동의 1위입니다.
이유는 실내에서 온도가 가장 낮은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 해당 세대의 온도와 수증기밀도(상대 습도)가 적정한지 여부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로가 온도가 낮은 부위에 세대 내부 수증기가 응결되어 발생하므로 세대 내부 온습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6&wr_id=170
1번 질문에 대하여 답변 드리겠습니다.
해당 하자는 '외벽에 면한 T형 슬래브 하부에 결로방지단열재가 설치된 우각부에 발생한 결로'입니다.
현상은 얼핏 단열공사 하자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만, 현장 공사 과정상 골조공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렇게 보는 이유는 결로방지단열재를 골조공사에서 시공하기 때문이며, 골조공사는 하자기간이 마감공사에 비해 깁니다. 그러므로 입주 후 2년이 지났다면 이런 점을 들어서 하자보수를 신청하십시오.
해당 부위는 공동주택에서 결로발생 순위를 매기자면 부동의 1위입니다.
이유는 실내에서 온도가 가장 낮은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 해당 세대의 온도와 수증기밀도(상대 습도)가 적정한지 여부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로가 온도가 낮은 부위에 세대 내부 수증기가 응결되어 발생하므로 세대 내부 온습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