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 하자에 대해 여쭤봅니다

하자관련 질문/사례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방통 하자에 대해 여쭤봅니다

G 요니요니 2 169 04.04 02:14

방통으로 인한 누수로 질문 올립니다.

2월초 신규아파트 입주하였고 벽면 곰팡이로 인해 석고보드 제거 하니 바닥에 물이 고여있었으며

가스수압체크 다했는데 보일러 배관은 누수가 없고

방통 양생할때 발생한 수분이 콘크리트 골조부분에 크랙이 없기에 현재 저희집 아래 고여있는 거라고 추측하셨는데요 아무리 검색해도 같은 상황의 하자가 없어서 시공사의 말만 듣고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ㅠ

사측에서도 이런 경우는 정말 드물다고 하시더라구요

현재 해당 벽면(안방2벽면 펜트리벽면 pd박스제거) 석고보드를 제거하여 2달째 건조중이며 이번주에 상황보고 마감 시공을 하기로 했는데요


눈에 보이는 곳은 일단 건조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완충재와 단열재가 있는 방통 아랫부분은 보이지 않아서 판단이 어렵습니다.ㅜ 이런 부분 확인하는방법이 있는지.. 확인 안했는데도 마감을 해도되는지가 의문이라서 글을 남겨봅니다. 혹시 이런 경우의 하자가 있나요? ㅠㅠ

Comments

3 green건축 04.04 07:59
공동주택 건식 칸막이벽은 방바닥 위에 설치하는 방법과, 먼저 설치한 후 층간차음재와 기포콘크리트트 그리고 방바닥 모르타르를 바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진상 당 아파트는 후자의 경우로 아래와 같은 요인에 의해 현상과 같은하자가 발생합니다.

1. 방바닥 모르타르 바름 후 충분히 양생되고 건조되지 않는 상태에서 방바닥을 마감했을 때.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방바닥 모르타르는 입주하기 수 개월 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바르고 자연 양생 및 건조를
  합니다. 그리고 고주파 함수율 측정기 등을 사용하여 바닥의 함수율이 4% 미만일 때 마루를 설치합니다만, 이런
  조건이 지켜지지 않는 상태에서 벽과 바닥 등을 마감하여 방바닥을 구성하는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 모르타르에
  잔류된 수분이 건식벽 석고보드를 흡습시키고 스터드에 녹이 발생합니다.

2. 세대 내부 누수와 건식벽 하부의 배수로 역할
  세대 내부 어느 곳에서 누수되면 그 물이 건식벽 하부를 타고 이동하면서 주변 방바닥과 함께 석고보드를 흡습시
  킵니다. 이 이런 경우는 입주 전후 관계없이 일어나는 하자이기 때문에 화장실 등에서 누수가 발생한 후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방바닥 아래 도배지부터 곰팡이가 발생합니다.

현재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건식벽 하부에 누수로 인한 물흐름 흔적이 없다면 '1항' 내용에 의한 하자일 수 있습니다. 건조 상태는 육안 확인과 함께 함수율 측정기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되며, 시공사에 이런 측정을 거쳐서 충분히 건조됐다고 판단됐을 때 후속 작업을 해달라고 하십시오.
M 관리자 04.04 08:34
감사합니다.
--------------
아래 글과 댓글을 추가로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6&wr_id=57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