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베란다와 벽체 문제가 해결되기도 전에 또 다른 글을 올려서 죄송합니다.(4년차 상가주택)
단순 도장 하자 또는 노후화로 인한것이라고 넘어갔는데 아무래도 의견을 들어봐야할 것 같아서 추가 질문드립니다.(전체적인 부실 시공인지 매우 걱정이 됩니다.ㅜㅜ..
아래 그림처럼 창틀 갈바에 녹이 나면서 부식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도장이 부실해서 추가로 도장처리를 나중에 해야하나 했는데 이거 혹시 내부에서부터 뭔가 문제가 있어서 그런것일까요?..
아니면 단순 도장의 부실로 인한 부식으로 봐야할까요?..대부분의 창이 동일합니다..(이게 디자인적으로 좋아보이지만 철재는 부식에 취약할텐데 왜 이렇게 설계하고 시공하는건지..)
이것은 외부에서 녹 제거 후 보수만 하면 되는건지 아니면 실리콘 등의 작업이나 혹은 벽체 자체의 발수처리 등을 동반해야 하는건지요?..외벽에 수직으로 백화현상의 흔적이 일부 있습니다.
이 것은 발수처리를 하든, 방수처리를 하든 같습니다. (일시적일 뿐 지속가능하지 않기에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의 시공 디테일 자제가 잘못된 것인데요.
현재는 벽돌 뒤로 넘어가는 빗물에 대한 고려가 없는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무언가 건전해 지려면 천장 마감 자체를 새로 해야 하던가, 벽돌 뒤쪽 위치에 타공을 해서 물이 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무언가 건전해 지려면 천장 마감 자체를 새로 해야 하던가, 벽돌 뒤쪽 위치에 타공을 해서 물이 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이 부분을 조금만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1. 천장 마감 자체를 새로한다는게 어느 부위를 말씀하시는지요?
2. 벽돌 뒤쪽 위치에 타공을 한다는 것도 어느 부위를 지칭하시는것인지요?
벽돌 뒤로는 항상 물이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그 물을 뺄 수 있는 물구멍이 존재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건축사의 수준은 앞선 글에 댓글로 드린 것과 같습니다.
이는 꼭 건축사의 문제라기 보다는.. 살려고 짓는 것이 아니라 팔려고 짓는 이 시장의 왜곡된 결과입니다. 이 둘에 자재 수준 정도 외에는 차이가 없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 처럼 누수부터 구조적 문제까지가 포함된 내용까지 너무 큰 차이를 보이는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