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상복합 아파트 창호쪽 내부 벽면 누수

하자관련 질문/사례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주상복합 아파트 창호쪽 내부 벽면 누수

G 두리아빠 1 436 2024.12.21 21:11

아파트 누수 부위.jpg

 

아파트 누수 부위(4).jpg

 

아파트 누수 부위(5).jpg

 

아파트 누수 부위(6).jpg

 

아파트 누수 부위(1).jpg

 

아파트 누수 부위(2).jpg

 

아파트 누수 부위(3).jpg

 

약 두 달 반 전쯤 주상복합 28층에 위치한 방 두 곳에서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처음에는 벽지에 곰팡이가 보여 도배를 하려고 했는데, 기존 도배지를 뜯어 내는 과정에서 창호쪽 윗 벽면이 물에 젖어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후 누수업체를 불러 1차 윗집  누수 탐지를 실시했습니다. 윗집 누수탐지 결과 누수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2차로 시스템 에어콘 누수 전문업체를 불러 시스템 에어콘 배관쪽을 확인했는데 역시 문제가 없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이때 창호쪽 누수 부위를 좀 더 면밀하게 살피기 위해 벽면을 일부 철거했습니다.

 

에어콘 누수 업체로부터 창호쪽 외벽에 실리콘 마감이 오래되어 찢어짐으로 인한 누수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저희집과 바로 윗집의 실리콘 코킹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렇게 전용부문의 코킹 작업을 완료하였으나 이후 비가 오면 다시 해당 부위 철거된 벽면에서 물이 흐르는 것이 발견되어 아파트 관리 소장에게 공용부문 문제 가능성을 제기하여 28층부터 31층까지의 공용부문 코킹 작업도 완료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비가 온 후 다시 물이 흐르고 있습니다. 

 

도대체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4.12.26 07:07
내부 사진만으로는 저 역시 감을 잡기는 어려우나, 천장 면을 통해서 내려오는 물로 보이므로..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지금의 벽면처럼 천장의 일부라도 절개해서 그 속의 상황을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 사진의 천장면)
커튼월 방식의 주상복합아파트이면서 코킹의 문제가 아니라면 프레임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그 역시 유입경로를 알아야 무언가 추측이 가능하거든요.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