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탑층 화장실 결로입니다 관리실에서 결로라 세대내 책임이라고 하네요
온습도 조절하고 건조기 선풍기 돌리고 끄고 3시간 정도 지나면
또 물기 한두방울 맺힙니다
1.탑층 온습도 환기 조절했는데 결로 맺히면 세대내 책임인지요?
사진보시고 세대내 결로인지 탑층이니 공용부 결로인지 알수있는지요?
2.화장실 천장 단열하면 괜찮을까요?
3.화장실 천장 단열시 지금은 괜찮은 거실쪽으로 또 결로 생길까뫄 걱정이 됩니다 왜냐면 화장실 일부 물떨어지는곳 땜빵으로 단열폼 붙였더니 그옆에 물맺힘있어 물어봅니다 탑층이라 전체 천장 단열하는대공사일까봐 걱정이 되네요 인테리어하고이사온지 6개월이라 ...
단열재 표면에 결로가 생긴 원인을 파악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화장실 천장 속 어디선가 공기가 들어오는 부분이 있는지, 혹은 단열재 두께가 도면과 달리 너무 얇게 되어 있는지 등인데요.. 머리를 넣어 보면 완연히 차가운 기운을 느낄 수 있는지를 보셔도 됩니다.
대개의 경우 (맨 처음 사진의 왼쪽 끝 천장부분) 외벽 쪽으로 결로가 생기거나 하는데, 이 처럼 천장의 단열재 표면에 생기는 것은 드문 경우입니다.
즉 공용부 결로라는 것은 있을 수는 없고, 해당 단열재가 정상적으로 시공된 것인지를 살펴야 하는데.. 그리고 먼저, 화장실 환풍기를 틀면 배관을 통해서 공기가 PD로 잘 나가는지도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가끔.. 천장 내부 배관이 PD로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배관에 틈새가 있거나 찢어져서 샤워 습기가 천장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거든요.
단열재 두께는.. 젓가락으로 단열재를 깊게 쑤셔서 어느 정도 깊이로 들어가는지 보시면 되세요.
그리고, 두번째 사진의 기구는 무엇인지를 관리사무소에 물어 보시고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답변주신거처럼 공기가 들어가는 부분이 있었어요
인테리어할때 사진에서처럼 드레스룸으로 가는 환풍기선을 연결하지않아서 금일 환풍기를 교체했어요 교체후 결로가 안맺히는지 확인해볼께요
두번째 사진의 기구는 콘센트예요
이부분에서 누전이 되어서 결로 알게되었고 매일 콘센트 부분 닦는데도 물기가 까만 플라스틱안에 맺혀요 그래서 사진처럼 아예 빼놓은 상태인데 까만 플라스틱부분이 나사로 되어있으면 뺄텐데 시멘트랑 연결되어 빼지못하는구조로 되어있는데 혹시 이부분 어찌해야될까요? 여기부분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지요? 지금은 이부분 전기사용안하고있어요 물기 매일 닦아도 맺혀요
콘센트 박스의 물도 결로이며, 이 부분은 전선이 나온 공배관의 끝을 메워주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