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세탁실에 배관이 두개있는데요 세탁물내려가는 오수관쪽인거 같은데 이번 주말에 비가 많이 와서 첫번째 사진처럼 천장쪽 실금을따라서 약간의 누수가 보이더라고요 뚝뚝 떨어지진 않았고 살짝 젖은 정도같은데요 배관에 물이 흐르진 않았고요 그래서 어떤글에 배관을 위로 좀더 끼워보라는 글을 보고 위로 조금 올렸더니 바닥연결부위가 떠서 길이 조절볼트같은거 돌려서 바닥 연결부위에 짱짱하게 맞췄는데 두번째 사진 처럼 중간에 홈같은 부분이 나오더라고요 마지막사진은 나머지 한쪽 배관 바닥 연결부고요 원래는 제가 조절한 연결 부위도 마지막 사진처럼 되어있었는데 이렇게 사용해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사진의 12시 방향이 문제의 크랙과 누수의 부분이고
사진의 대략 5시 방향에서 안쪽 배관과 결합되는 부부분이
2-3cm 파손이 되어있었습니다.
그래서 수리하러 오신분이 파손부분 안쪽에 회색의 방수실리콘으로 넓게 도포 하셨고 그 다음 작업 과정은 자세히 보진 못했으나 배관 연결시 결합 부위도 실리콘으로 처리후 끼워 주셨고 끼운 후 주변도 실리콘 처리 후 덥개를 붙여 주셨습니다.
작업 당일은 위층분들 협조로 물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몇달 전 이 문제로 질문 했었는데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문제의 배관은 세탁실 오수관인 것 같습니다.
사진은 11월 18일 찍은 사진으로 약간의 누수 흔적이 보였습니다. 그 후 완전히 건조된 후 누수 흔적은 없었고
11월 26일부터 눈과 비가 조금 내린 후 11월 29일 네번째 사진 정도의 누수 가 보였는데요 궁금한 부분이 창문을 열어서 환기를 시키면 얼마 후 수분기가 마르고 다시 창문을 닫고 대략 한 시간 후 수분기가 보이는데요.
11월 30일 저녁 10시경 창문을 열어 놔서 바싹 말라있었고 다시 창문을 닫고 아침에보니 사진 정도로 젖어 있었습니다. 오늘 다시 배관에서 물이 내려가는 소리가 들리고 1시간정도 후 다시 보니 사진 정도 젖어 있었는데요
그래서 이 증상이 수리가 잘 안된것인지요...문제의 배관은 오수관이고 바로옆 배관이 우수관인데 이 누수가 비와 관련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아니면 비와 무관하게 위에 세대에서 세탁기를 사용해서 누수가 있는지 우연히 비오는 날과 겹친건지 헷갈리네요 제 기억으론 수리 이틀 후 살짝 젖고 완전히 건조된 후 부터 8일 정도는 젖지 않아 보였거든요 실금 부위로만 젖어서 이게 크랙때문인지...이 현상이 계속 빈복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단순 몇달전 누수의 수분이 남아서 젖고 마르는것이 반복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너무 정리가 안되서 죄송합니다. 감시합니다.
이런 경우는.. 위에 설명해 주신 우수관과 같은 문제입니다. 다만 그 양이 너무 작아서 건조를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위와 같이 수리를 하셔도 되고, 이 양이 더 번지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그냥 두셔도 될 것 같습니다.
질문 한곳은 몇달전 제일 처음 질문했던 같은곳입니다 ㅎㅎ 수리받은 뒤 약간의 누수가 여전히 보여서 재 질문 드렸습니다. 당분간 그냥 두시라고 하셨는데요 결국 재 수리 요청을 해야 할까요? 아니면 좀 더 지켜보고 상태가 호전 될 수 있으니 지켜보란 말씀일까요?
재 수리를 요청해도 무언가 잘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 그렇습니다.
지금의 양이 문제를 일으킬 정도는 아니기에, 더 커지지 않는다면 두셔도 되겠다라는 의미였습니다.
하자보수로 배관빼서 배관이어주는 플라스틱 슬라브에 크랙이 있다고 다시 배관 빼보니 맨 처음했던 실리콘 보수는 이미 탈락이 되어있고 다른부분 실리콘 처리를해 주었지만 증상은 동일한 상태인데요 크랙부분 말랐을때 크랙실선을 휴지로 대보면 크랙라인따라서 젖더라고요 이부분을 하자센터에 말하고 윗집도 어떤지 상태를 좀 봐야는 거 아니냐 하니 인젝션 방수작업을해 주겠다고 하는데요 인젝션작업으로 해결가능핸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우선 윗집을통해서 해결해 보는게 순서인거죠???
첫번째 사진은 보통 주말에 세탁기를 많이 쓰기에 주말에 가장많이 누수가되었을때고
두번째 사진은 평일 가끔 누수가 되었을때 입니다.
세번째는 말라있을때 입니다.
감사합니다.
본문글 제일 많이 누수되었늘때 첫번째 사진
누수란게 참 은근 신경쓰이는 부분이여서 답답하네요
다시한번 감사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누수가 평소보다 좀 더 있어서 자세히 살펴보니 크랙쪽으로만 누수가 있는게 아니라 배관 연결하는 슬라브와 콘크리트 사이로 360도 둘러서 전체가 젖어있더라고 이런경우 방수층이 깨진건가요??? 익젝션으로 보수가 가능할지...확실한 보수방법이 궁금합니다. 비슷한 질문 반복해서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방수층'이 건전한 적이 없기에 그렇습니다.
결론은.. 윗집에서 바닥을 다 파서 방수 공사를 해야 하는데, 본질적인 문제는, 수십번을 다시 하더라도, 그 수십번의 공사를 하는 분들이 제대로 방수를 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또한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비용을 낼 수 있는 세대주도 없고요.
다 된다고 하는데, 누군가 더 비싸면 그 비싼 이유를 묻지도 않지만, 물어도 모를 뿐더러, 더 싼 곳이 있는데 그 비싼 곳에 맡길리가 없기에.. 결국 제대로 하는 분들이 시장에서 사라진 결과입니다.
상당히 긴 글을 적어 드려야 하기에 그저 이 게시판에서 '우수관 누수'라고 검색을 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