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질문드리는 아파트 관리인입니다.
오늘은 지하주차장 천장을 지나가고 있는 온수배관에서 물이 새서 그 밑에 주차하고 있던
차에 피해를 주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주차장 천장에서 물이 새는 일은 자주 있는 일이기에 그런 일인줄 알고 현장에 가보았으나
천장은 깨끗하고 온수배관을 감싸고 있는 마감 테이프와 지지대에 물기가 있었습니다.
배관에서 누수가 생겼나? 싶어 테잎과 보온재를 제거하고 살펴보았는데 누수는 없었습니다.
지지대 좌우로 녹이 난 듯한 줄이 보이는데 과거에도 물이 흘렀던 흔적같습니다.
두번째 사진도 과거에 물이 새서 플랜지 부분 마감재를 벗겨논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보온재 다 벗기고 사진찍는 걸 깜빡해서 배관 사진은 없는데....깨끗했습니다.
질문드리는 내용은...천장도 깨끗하고 배관에서 구멍이 생겨 누수가 된 것이 아니라면
온수 공급배관과 보온재(2겹) 사이에서도 결로가 생겨 물방울이 맺힐 수 있는지요?
만약 그렇다면....어떻게 해야 할까요?
준공이 2009년이고 보온재도 성능 저하? 아니면 교체해줘야하는 시기가 있는지요?
겨울철만 되면 지하주차장 누수문제로 골머리네요...
혹시 배관 도면이 있다면.. 해당 배관이 저층 온수 공급 배관인지 확인이 가능할까요?
온수배관이므로 결로현상은 아닙니다.
저층 배관이라면 ...
저층배관임에도 불구하고 펌프의 양정을 고층용과 똑같이 설계해서, 배관 내의 수압이 높아.. 이 처럼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겨울철에만 누수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쭈어 본 것인데요..
그래도 혹시 모르니 플렌지 볼트를 한번 조여봐 주시겠습니까?
네 플렌지 볼트 조여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