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창호 외부김서림과 로이코팅 질문 입니다.

1 홍석영 4 1,839 2019.11.26 01:18

아직 완공은 아니고, 건축중입니다. 독일식 시스템창호에 3중유리 (로이코팅) 제품 입니다.

아직 건물이 완공이 아니라 현관문은 뚫려있는데, 창문 외측에 김서림이 있습니다.

내부는 김서림이 없고, 유리와 유리사이도 아닌 완전 외측 김서림이 있는데, 별 문제가 없는 것 인가요?

 

 

 

 

6efab508649fe2da4c86ad3854fdd3d6_1574698469_9658.jpeg

 

 

 

로이코팅을 보기위해 라이터를 실내측에서 켜보았습니다. 2번과 5번이 색상이 다른데, 2번은 명확하게 붉은색 색상인반면 5번이 실제로는 붉은색이 아니라 푸른색(사진상 살짝 붉게 찍힘)으로 보여집니다. 로이코팅 종류에 따라 불빛의 색상이 다를 수도 있나요?
6efab508649fe2da4c86ad3854fdd3d6_1574698475_2207.jpeg
 

Comments

M 관리자 2019.11.26 08:40
1. 유리의 성능이 아주 좋다는 의미입니다. 문제라기 보다는 그 반대의 상황입니다.
2.네 그렇습니다. 녹색으로 보이는 유리도 있습니다.합금의 미세한 배합비 차이에 기인됩니다.
1 홍석영 2019.11.26 10:45
아침부터 답변 감사드립니다. 1번의 원리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왜 성능이 좋을때 바깥족에 김서림이 생기는지요
M 관리자 2019.11.26 10:53
창의 성능이 좋지 않을 때, 실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의 반대현상입니다.
야간에 창의 표면온도가 매우 낮게 떨어지거든요. 그 떨어진 온도는 외부 공기 온도보다 낮습니다.
(즉 외부 공기온도보다, 창 표면온도가 매우 낮아짐)

실내측에 결로가 생기는 원인이 실내 온도보다 창의 표면 온도가 매우 낮아서 생기는 것인데, 그 것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습니다.
1 홍석영 2019.11.26 11:06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