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3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첫째는, 3년차 신축 아파트 거주중인데, 우연히 커튼 열다가 위를 봤는데 창문 위에 천장과 벽이 이어지는 부분에 틈새가 생겼습니다
좀 전에는 거실창 위에서 뭐가 쩌걱 하면서 소리가 나서 보니 여기도 틈이 얇게 실선이 생겼구요.
드레스룸이며 주방 위 등등 곳곳에 틈이 생기기 직전 모습이 발생했어요(틈이 아주 실선으로 있어요)
또한 어떤 방은 창틀 아래 벽
특히 모서리 부분이 평편하지 않고 약간 뒤로 밀리구요
(석고보드 같은걸 덧댄거 중 하나가 뒤로 밀리는 거 같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석고보드 수축일까요?
아니면 우레탄 폼이 부족해서 일까요?
이런 경우 벽을 다 뜯어내고 공사를 하는지
아니면 구멍 내어 폼 쏘는걸로 하는건지
보통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는 바깥창에 결로현상이 자주 발생해서
낮에는 바깥창을 열어두고 낮시간에 환기를 여러번 시키는데 곰팡이가 생길까봐 너무 걱정입니다. 온도차가 심하면 결로가 더 잘 생긴다고 해서 집은 22-23도로 유지하는데 집은 건조한 편입니다 ㅠㅠ
2년간 괜찮았는데, 좀 전에 방 모서리에 이렇게 약간 색이 변한 곳을 발견했어요. 젖어있거나 하진 않지만 차가운 느낌은 들어요
이게 젖었다 마른 거면 큰 문제가 없는건지, 아님 여기도 뜯어봐야 하는지 궁금해요
마지막으로 집 곳곳에서 쩌걱 또는 뚝 하고 짧게 뭔가 갈라지는 소리가 들리기도 합니다. 인터넷에 본 글들 중에는 자재가 마르면서 생기는 소리라고 안전에 문제는 없다던데..겨울철에 유난히 이런소리가 나고 안전성과는 무관할까요?(직접 들을 수 없는 부분이라 답변에 애매함이 있으시겠지만 소견 부탁드립니다)
많은 질문 죄송하고,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온습도계를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각으로 습도를 관리하면 너무 건조해 질 수 있고, 정상범위보다 너무 건조해 지면 지금과 같이 자재의 건조속도가 너무 빨라서 여러가지 틈새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정상범위인데도 틈새가 생기는 것은 지금 시공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어쩔 수 없습니다.
현재 습기가 없고 말라 있다면 자국난 부분은 괜찮습니다.
소리도 역시 자재가 건조되면서 수축하는 소리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온습도계를 구입하셔서 정상 습도범위 (50% 내외)가 유지되도록 제습/가습을 해주시면 되세요.
하나 더 여쭙고 싶은데...천장의 틈새와 창틀 주변 틈새 같은 경우 그냥 실리콘으로 막으면 되는걸까요? 창틀 아래 모서리가 들어간 부분에는 간격차로 벽지가 뜬 부분들이 있는데 어떻게 수리하면 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두 군데 모두 실리콘으로 수리를 하시면 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