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욕실 누수로인한 안방 누수 및 공사후 재발등 문의드립니다.

G 정평열 7 1,133 2022.04.12 07:36

제목의 내용 관련하여 도움요청드립니다.


지난 8월경에 처음으로 침실쪽 누수를 발견하여 관리실에 신고하였고,

위치가 애매하여 외벽인지 욕실인지 판단이 안된다고하여 무작정기다렸습니다.

아파트 외벽공사가 끝났고 비가 안온지 한참 지나도 물 맺힘이 지속 발견되어

위층에 내용 전달을 하고 위층에서는 누수탐지 업체를 불렀습니다.


두업체는 잘 모르겠다고 했고 한 업체는 윗층에서 새는건 맞는데 확실히 어딘지는

알기가 어렵다고 이야기 하였습니다.


하여, 추론하기에 1번위치에서 샌 물이 단열재로 떨어져서, 단열재를 타고 3번위치로

이동하여 떨어진다라고 의심을 해보았으나 거리가 멀어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찌되었건 1번위치가 젖는건 눈으로 확인이 되기에, 세면대 배관누수를 의심해보고자

위층에서 욕실을 미사용하였습니다. 욕실미사용시에는 1번위치 물기가 말라가는것이

확인되었으나, 욕조측 물을 사용하니 다시 젖음 현상이 발견되어 위층에서 섭외한

인테리어 하시는 분께서 방수문제라고 판단하여 방수공사를 실시하였습니다.

4/4~4/7 실시하였으며, 실시후 4/6일 확인시 1번위치는 바짝 마른 수준으로 되었으며

3번 침실 위치에서도 물떨어짐이 줄어든 것은 확인하였습니다.

(기존: 하루 150cc수준에서 공사후: 10cc미만)


4/8 이후 1번 위치 다시 젖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위층은 4/11까지 부재였으며 입주청소는 4/9 실시)

그리고 별개로 공사중에 위층에서도 1번위치 누수흔적이 확인되었고 아래로 

이어진 흔적도 있다고 하여 방수공사후에도 문제 발생시에는 위위층의 문제가 아닐까

하는 의견을 제시하셨습니다.


제 짧은 소견에는 위위층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저희집까지 세포인트나 이어지게 누수가 가능한지..

의문입니다.


관련한 질문은

1. 1번위치가 바짝 말랐다가 젖은것은 누수가 계속된다고 봐야겠지요? 해당위치 누수가 계속된다면,

3번위치 누수도 지속된다고 봐야할지요? 


2. 3번위치 침실쪽 단열재에서 물이 계속 떨어집니다. 양은 줄었으나, 위층이 어제 복귀하여 지속사용시

어찌될지는 확인해봐야 할 것 같은데, 원래 물이 모두 없어지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나요?


3. 누수업체를 다시불러봐야할지.. 어떤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게 좋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2022.04.12 17:05
1번 사진은 조적벽체의 상부인데요...
평면에 표시한 것은 세면대 위치라서... 조적벽체가 있을 만한 곳이 아니거든요.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G 정평열 2022.04.12 17:34
2번사진(위층)에는 메꿈되어있지만 동일한 위치이니 조적벽체상부가 맞다고보입니다.
세면대하부라고생각했는데 세면대배수 배관이연결된쪽은 아닌가요? 그럼저건 무슨배관인건지..
참고로 위층은욕조까지들어내고2차방수공사했으나 바닥이 젖은흔적이없다고하네요..
G 정평열 2022.04.12 18:14
윗집에서 방수공사를 이렇게나했는데도..
본문 아래사진처럼 윗윗집 조적벽체에서샌물이 내려와서 그럴수도있을까요?
G 정평열 2022.04.12 18:15
상기와같이 싹들어내고 2차방수까지했다고하네요
M 관리자 2022.04.13 01:15
지금 올려 주신 사진이 세면대 뒤 벽이 맞다면.. 윗윗집의 누수가 내려 올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아니면 사진의 파란색 배관 (혹은 지금 사진에서 보이지 않는 다른 배관)의 누수일 수도 있고요.

조금 당황스러운데요.
콘크리트 벽을 만들고 나서 그 앞에 다시 조적벽을 쌓은 이유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나온 파란색 배관이 무엇인지도 모르겠고요, 사진으로 유추애 보자면 파란배관의 방향 아래 그림과 같다는 뜻인데.. 그 배관이 거기로 향해서 어디로 내려 갈 곳이 없어 보이거든요.
(붉은 색 점선 화살표)
G 정평열 2022.04.13 12:59
세면대배수관이연결된 부위라고하고요.
뒤쪽으로가서 욕조. 화장실바닥배수랑 합쳐져서 배출됩니다.
위층공사시에멈췄던걸로봐서(4일간)위층같긴한데요..
위층세면대 배수관과 파이가 달라서연결부위누수같다고하기도하는데요
M 관리자 2022.04.13 13:45
네.. 지금의 정황으로는 그저 의심만 될 뿐, 정확한 것은 예측키 어렵기에 ... 그러므로 죄송합니다만, 누수의 원인은 저희가 짐작하기는 어렵습니다.
그저 왜 조적적을 한번 더 쌓을 수 밖에 없었는지 부터가 궁금하기는 하나, 그게 원인은 아니므로..
이 조적벽 뒤쪽으로의 물 흐름이 있는지를 봐야 하는데.. 그 것도 쉽지 않아 보이네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