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년 넘은 3층 필로티 건물입니다.
2년까진 콘크리트 수분이 배출되어 결로가 심한부분은 인지 하고있습니다,
2층이 결로심하여 외벽이 맞닿는부분은 단열작업(아이소핑크) 하였습니다, 단열작업을 하고 나니 작년보단 결로가 심하지않습니다, 근데 벽지를 보니 수분이 배출되는거 같더라고요,주차장 윗부분인 안방 천장쪽에 곰팡이 발생하였습니다, 세입자가 거주하며 천장쪽만 이렇게 발생하였네요, 같은 위치인 3층 안방은 보일러를 가동은 일절 하지 않고있습니다, 이부분도 문제 발생에 원인될까요.? 그리고 2번째 사진은 화장실벽과 맞닿는곳이여서 단열을 하지않았는데 결로가 발생하여 장농 및 천장에 곰팡이가 발생했네요;; 단열을 해야되는건가여
부분적 정보만으로는 답변이 정확치 않을 수 있음을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선 이 천장의 곰팡이는 필로티 상부라서라기 보다는 3층에 난방을 하지 않은 영향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장롱으로 인해 바닥열이 천장까지 미치지 못하고, 더해서 공기가 정체되면서 생긴 거라서요. 일단은 장롱 위의 검정색 물건을 빼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주고 나서 지켜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몇가지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1.제가 첨부드리는 사진 빨간라인까지 단열을 하였습니다, 천장 뜯어서 안까진 단열 진행을 하지 않아도된다는 말씀으로 들리는데 맞을까요?그리고 같은 위치 3층 보일러를 하루에 한번이라도 가동을 해야될까요? 2층은 환기도 하지않고 25도로 지내고 있습니다.
2. 2번째 사진은 안방화장실과 맞닿는벽입니다. 옷장만 띄우고 윗에 짐 제거만으로 곰팡이가 없어질까요? 단열작업을 하는게 나은걸까요?
3층의 온도를 조금 올리던가, 2층에 온습도계를 놔서 정상 습도 범위 (겨울철 40% 내외)인지를 보시는 것도 일차적 방법입니다.
2. 일단은 짐 제거 만으로 해결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석고를 들어내고 보지않아서 석고 안쪽면에는 곰팡이 핀지는 모르겠지만, 일부 부분도배만 진행해보고 상황을 지켜본다음 또 발생시 천장들어내고 도배 하는것이 나을까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옷장뒤 벽면 도배지는 곰팡이가 피지 않았습니다, 옷장에만 곰팡이가 피었고요, 그럼 화장실 벽면은 단열 진행하지말고 옷장을 살짝 띄워서 거주 하는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내벽단열을 진행하는것이 나을까요?
단열은 해서 더 나빠질 것은 없습니다. 하는 것이 항상 좋습니다. 다만 그럴 비용과 시간 등이 허용되느냐의 문제일 뿐입니다.
그리고 현장의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기에, 단열을 해야 할 상황인지 옷장을 이격하는 것 만으로 될지를 판단할 수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스스로 결정을 하셔야 하며, 만약 옷장을 띄어 놓는 다면 약 50~80mm 정도 이상인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