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죽전동 패시브하우스 건축주입니다.
일전 2023년 09월 25일 실시 설계 당시, 실내에 기계실 도어를 시스템 도어가 아닌 ABS 도어로 시공할 경우 결로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안내를 받았었습니다.
실내 기계실 도어 상담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1978
그리고 역시 건축사님과 협회에서 말씀해주신대로 아래와 같이 소량의 결로수가 발생했습니다.
다만, 이렇게 발생한 결로수를 닦아내는 것만 하면 될지 하면 유지관리를 위해 어떤 액션을 취해줘야 하는 걸지 잘 몰라서 고견을 구하고자 글을 남깁니다.
신축건물의 경우 초기함수율이 높아 1~2년까지 결로 발생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물론 그 이후에도 실내온습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해서 지람님의 경우 기계실 앞이 다용도실이어서 습기 유입의 가능성이 더 높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아래의 2가지 방법이 적용 가능합니다.
1) 아래 링크의 테이프로 결로발생 부위를 보강해줍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joeunins/products/4826932254?NaPm=ct%3Dm6of71eg%7Cci%3Da427f5029212bb3d7bcd719bed93da186852af3b%7Ctr%3Dslsl%7Csn%3D925110%7Chk%3D73bbc1e6c3dbbc390073d90e4bd5646ed54ffe2a&nl-au=179e1df25cab44cc8053b1c715c7a398&nl-query=epdm+%ED%85%8C%EC%9D%B4%ED%94%84
2) 소용량 USB 선풍기로 대류를 일으켜 표면온도를 높이고 결로수를 증발시킵니다.
2가지 방법 모두 100% 결로 발생을 제거한다고 장담드릴 수는 없습니다만 그 정도를 확연하게 줄일 수는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다락에 있는 OA배관도 동일하게 조치하면 되는 걸까요?
저희집도 기밀층 내 기계실이라 결로가 심했는데 싹 해결했습니다.
이것은 결로수가 맺혀 흐르는 사진입니다
oa배관 6미터정도 발포테이프는 5묶음정도 썼네요
그런 경우 환기장치 출력을 줄여 OA배관의 부압이 감소하면 고인 물이 배관 연결부를 통해 새어나오기도 합니다. (사진 참고)
발포테잎을 감은 후 OA배관내 물차는 현상도 없어진 것으로 보아 발포테이프가 알루미늄테잎의 부족한 부착(기밀)성능을 보완하는 것 같습니다.
상세한 답변과 노하우 감사드립니다!
후후... 뭔가 이상한 낌새만 있어도 혹시 큰 문제일까 가슴 졸이며 첫 겨울 보내고 있습니다.
차라리 내집마렵다님처럼 노출되어 있으면 발견도 쉽고 조치도 편할텐데, 인테리어로 숨겨져 있으니 큰 일 아닐까 지레 겁이 나네요 ㅎㅎ
그래도 낮아진 가스 비용 보면서 힘내고 있습니다. ㅎㅎ 태양광 발전기도 설치해야 하는데, 갈 길이 멉니다.
@관리자님
다락이 세입자 공간이라 실내 습도 측정 부탁하겠습니다. AcuRite 온습도계로 측정해보겠습니다.
저도 결로가 많이 발생해서 신경이 많이 쓰임니다.
준공 후 첫 겨울이라 그럴수있다 생각하는데 신경은 많이 쓰이네요
저는 잡자재에서 방문하여 꼼꼼히 보수해주셨습니다.
보수해주신 이후로는 결로가 확실히 줄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