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샷시 리모델링 시공 방법
안녕하세요?
샷시관련 하자여부 질문드리려합니다.
아직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아래 질문내용말고도 하자가 많아 질문드립니다.
질문내용1
우선 기존 집내부에서 사용하던 나무재질로된 문?(창?)과 그 틀을 제거하고 샷시를 시공하는 공사입니다.
나무재질로 된 틀을 제거하고나니 기존 시멘트가 깨어지면서 바닥이 고르지 않게되었습니다.
저는 첫번째 사진처럼 해당 모래들을 걷어내고 무언가로 평탄하게 충전 한 후 시공을 하시는줄 알았는데, 그냥 그 위에 시공을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샷시 바닥을 살짝 밟아보면 살짝 들어갔다가 그 탄성에의해 다시 제 자리로 돌아오는 상태입니다.
물론 아직 시공이 마무리 되지 않아서 최종단계에는 저러한 "들어감(?)"현상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을거라 생각은되지만 잘 몰라 여쭤봅니다.
질문내용2
기존 나무 틀을 떼어나면서 두번째 사진과같이 바닥이 엉망이 되었는데 이경우 미장공사도 창호공사와 함께 진행되는것이 맞는지요? 아니면 제가 별도로 지출을 해야하는지요?
질문내용3
마찬가지로 창호공사도중 기존 나무틀과 맞 닿아있던 장판부분을 세번째사진과 같이 무성의하게 잘라버렸는데 저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상을 요구할수 있는지요?
제대로 대화를 나누진 않았지만 말씀하시는거보면 장판도 새로하는것줄 알았다고합니다...
질문내용4
실측이 잘못되었는지 아니면 원래 이런것인지 모르겠으나 네번째사진처럼 벽과 맞 닿아있는 샤시 틀 윗부분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이 있는데 이게 정상인가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 답변 내용을 떠나서, 우선적인 것은 당사자간의 계약서입니다. 계약서 내용을 꼼꼼히 보시고 불만족의 내용에서 어디까지 보상이 되는지를 우선 챙겨보셔요.
이 답변으로 무언가 판단할 근거가 되지 못함을 전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내용1
▶ 창틀의 하부가 비워져 있으면 안됩니다. 측면과 상부는 비워져 있을 수 있습니다만 유리의 하중을 그대로 받아야 하는 창문의 특성상, 하부는 몰탈로 충진이 되어야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내용2
▶ 애매하기는 하나, 계약서의 내용에 미장공사가 들어가 있지 않다면, 추가금을 주는 것이 맞습니다. (그 이전에 창호회사에서 현장을 점검하고 미장공사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다 를 판단하여 견적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즉, 이 창호회사는 그 정도의 성의도 없어 보입니다.)
질문내용3
▶ "장판을 새로 할 줄 알았다."라는 말에서 "과도한 자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이유로 전체 장판의 교체비용을 갈음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 이 부분은 계약서에 없을 것이므로, (있다면 다행이구요) 당사자간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봐야 할 부분입니다.
질문내용4
▶ 간격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 간격조차 없으면 창문 시공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간격을 그냥 두는 것도 안됩니다. 내부를 단열폼으로 충진을 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계약서에 있지 않더라도 통상적 범위 내에서 요구할 수 있는 사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