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누수 관련 문의는 받지 않으시는걸로 알고 있으나
글을 봐도 해당 케이스가 없어 혹시 배관과 누수간 연결성에 대한 고견을 얻을수 있을까하여 질의 드립니다.
우선 저는 25년이 넘은 복도식 아파트 2층에 거주 중입니다. (끝집 아닙니다.)
몇 개월전 지하1층 주차장에 누수가 발생했는데 저희집 문제인 것 같다고 연락이 오셨습니다.
이유는 해당 아파트가 1층 3층 5층 이렇게 배관실 문이 세탁실에 있는데 1/3층은 배관실내에서는 젖은게 없었는데 저희집 세탁실 창문 아래쪽 7센치 부근(복도쪽 방향, 안에는 물이 젖어있지 않음)에 발생한 크랙에서 물이 묻어나오고 해당 물이 아래로 떨어져 복도가 젖어있었습니다. 바깥쪽은 방수 페인트인지 만지면 맨질맨질하고 물이 고여있다가 물이 차면 밖으로 흐르는거 같더라구요. 사진은 제가 꾹 눌러서 물이 나오는 장면을 찍은겁니다.
근데 그때 제가 저희집 세탁실 천장이 전과 달리 얼룩이 생겨 기름종이를 갖다대니 물이 묻어나왔습니다. 그리고 밤에 조용할때 세탁실에서 소리를 들으면 똑똑똑 하는 간헐적인 물떨어지는 소리가 났습니다. 경비실측에서는 2주전에 3층 수도가 터져서 공사했기때문에 젖었을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건 마를거라고 하셨구요.
그런데 두달이 지난 지금도 동일하고 답답해서 천장 배관 문으로 통해 비디오를 찍으니 벽 안쪽이 젖어있고 거기 휴지를 갖다대니 동일하게 젖더라구요. 경비실에서 여전히 복도쪽에서 물이 나오는 저희집만 계속 의심하고 있습니다.
누수탐지업자를 불러 냉온수 검사해도 이상이 없었고 3층도 검사 시 이상이 없었다고 합니다. ( 한달 차이로 2층 먼저하고 3층 검사했습니다.)
저는 궁금한게 다른분들 보니 물이 아래로 많이 흐르던데 저는 가로로 물이 번지더라구요.
1. 가로로 노란 얼룩이 생기며 젖는데 이것도 결로일수 있는지,
지역난방이라 보일러가 싱크대 밑에 있는데 혹시 싱크대 수로 배관이랑 세탁실 수로 배관이 이어져서 그 물이 복도쪽으로 나올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세탁실 물을 잠궈도 물이 나오니 혹시 같은 벽에 있는 싱크대 물때문인가 해서요.
2. 싱크대쪽 수로 높이가 더 낮고 물이 새는 복도쪽 크랙 높이가 더 위에 있는데도 싱크대 물이 복도쪽으로 샐 가능성이 있는지(공사를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복도가 점점 더 많이 젖어가는데요. 첨에는 수도계량기쪽 아래에만 젖었습니다.
3. 복도에 젖은 부위가 점점 넓어지는데요. (현관문열었을때 왼쪽만(수도계량기쪽) > 현관문 앞쪽은 젖지 않음 > 현관문 오른쪽 물) 젖는 이유가 누수때문일수도 있는지요. (해당건은 결로 같아서요.)
어떠한 의견도 감사합니다 ㅠㅠ 많은 말씀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다음 주는 날이 풀린다고 하고 있고, 누수의 지점이 다른 세대에 직접적 피해를 주는 곳은 아니기에, 다음 주까지 한번 지켜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별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할 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답답한 마음에 열화상 카메라를 빌려 세탁실 및 복도식 아파트 복도쪽을 찍어보았습니다.
저희 집 세탁실 내부에서 벽체를 찍으니 창문은 10도인데 벽이 20-19도 정도 되더라구요. (사진 1)
바깥에 나가서 복도 천장을 찍으니 11도(사진 2)
위층에 올라가서 수도계량기 왼쪽( 공용부쪽)이 10도 (사진 3) 정도 되는것으로 확인했습니다.
(* 참고로 저희집은 2층 위층은 3층이고 4,5층은 모두 벽아래 위다 온도가 이상 없었습니다. 저희집 수도계량기 아래쪽온도와 동일합니다. 또한 저희 세탁실에서 위집 바닥부분 온도를 재면 온도가 높지 않습니다.ㅠㅠ)
이때 공용부쪽이서 들어오는 곳에서 문제가 있는거 같은데 저희집 벽이 포함되어 있어 이경우에도 저희 집에서 수리 책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누수의 책임은.. 해당 세대 내에서의 누수일 경우에만 세대에서 책임을 지게 됩니다.
애매한 경우가 계량기함에서의 누수인데요. 엄밀히는 계량기함에서 계량기를 중심으로 세대 쪽인가 공용 쪽인가를 구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