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현상 중 특이점

하자관련 질문/사례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누수현상 중 특이점

G 한쓰 3 172 03.11 23:10

안녕하세요

 

누수피해로 고민을 하며 인터넷을 찾다가 이 협회를 발견하고 많은 사례를 찾아봤습니다

누수, 외벽크랙, 보수공사 등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다만, 현재 제가 처한 상황에 대한 내용이 없어 혹시 의견을 얻을 수 있을까 하여 문의 드립니다

 

상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윗집은 약 한달간 집을 비웠고 수도계량기 확인 결과 배관 누수의 흔적은 없음 (배관/욕실누수 아닌것으로 예상함)

2. 누수가 생긴 시점에 비 + 바람이 심했음

3. 이번 사건 이전에는 비, 바람이 심할때에도 누수가 없었음

4. 누수가 있는 방의 천장 도배지가 젖은 형태가 원형이 아닌 직선과 십자가 형태로 되었있음

5. 아랫집 천장벽지가 젖다가 시스템에어컨으로 물이 모였는지, 시스템 에어컨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짐 (바닥 나무마루가 물을 많이 먹음)

6. 아랫집(피해입은집), 윗집 모두 창틀 주변 벽지에는 누수 흔적이 없음

7. 아랫집의 커튼박스는 전혀 젖지 않음

8. 아랫집의 누수가 된 방 옆방에서도 천장은 젖지 않았으나, 시스템에어컨에 물이 맺히고 조금 떨어짐 (10방울정도)

9. 아파트 외벽 페인트 재도색을 약 3개월 전에 수행했음. 외벽에 수평크랙이 큰게 보임 (고층아파트라 집에서 확인이 어려움)

10. 아랫집의 아랫집에서도 누수가 있는데, 천장 전등 구멍으로 물이 떨어짐. 해당 구멍을 통해 보니 크랙을 타고 물이 흘러내려와서 전기선 에폭시를 통해 전등구멍 주변으로 물이 떨어짐

 

 

이런 정황인데, 

1. 외벽 크랙으로 인한 누수일 경우 커튼박스는 괜찮고 외벽에서 더 먼 천장만 젖는게 가능한지

2. 창틀 코킹문제로 인한 누수일 경우, 각 세대의 창틀 주변으로 물이 퍼지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지

3. 아랫집(피해입은집)의 바닥에 떨어진 물로 인해 마루가 젖고, 그 영향으로 그 아랫집도 누수가 생길 수 있는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습니다만, 관련 경험과 지식이 많으신 분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 글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03.12 06:12
안녕하세요.
적어 주신 정보로는 저 역시 예측이 어렵습니다.
이 게시판에서 '누수'로 검색을 해보시고 참고를 하여 원인을 찾아 보시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G 친절한 성희씨 03.13 17:27
각 항목 별 답변 드립니다.
1. 네 가능합니다.
  - 외벽 균열로 우수(빗물)가 유입된 경우 윗세대 바닥에 물이 고이게 되고, 그 물은 균열이 발생한 곳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2. 조건부로 가능합니다.
  - 아랫집 창틀 코킹이 아닌 윗집 창틀코킹이 문제가 있는경우 1번 내용과 동일하게 발생 합니다.
  - 창틀 코킹이 문제가 되어 우수가 유입되면 창틀주변에 단열재가 붙어있어 석고 마감까지는 젖지 않고, 콘크리트 벽과 단열재 사이로 물이 흘러내립니다.
3. 네 가능합니다.
  - 기본적으로 물사용이 없는곳은 바닥 방수가 없으므로, 바닥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고, 그 균열이 콘크리트 전체두께 만큼 관통이 된 경우 누수가 발생합니다.
  - 하지만, 보통의 경우 바닥 마감재, 미장몰탈, 기포몰탈, 층간차음재, 콘크리트 순으로 시공이 되어있기 때문에 미장몰탈, 기포몰탈이 흡수할 수 없을 만큼 누수가 생기면 그 아랫층도 누수가 될것으로 사료됩니다.

※ 천장이 십자 형태로 젖은것은 물이 떨어지는 부분이 천장 석고보드를 잡아주는 틀로 이동하여 그럴것으로 추정됩니다.
    천장틀을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에 삽입한 볼트를 타고 물이 내려올 것 같습니다.
※ 시스템 에어컨에서 물이 떨어진것은 일반적으로 밑에서 보이는 것은 마감재인 커버일 뿐입니다. 아마, 천장틀이나, 천장을 타고 이동하던 물이 실크벽지를 뚫고 내려갈 수가 없어 점점 고이다가 에어컨을 설치하기위해 뚫어놓은 곳으로 떨어진 것 같습니다.
※ 추정 원인
  1. 외벽균열 우수 침입
  2. 윗세대 창틀 코킹 들뜸 및 터짐에 의한 우수 유입
  3. 윗세대 창호 배수 불량에 의한 우수 유입
    - 창호 배수구에 벌레망 같은 제품을 붙여놓고 방치하면 먼지가 붙어 배수가 되지 않음
    - 비바람칠때 창틀에 물이 차게 되고, 창틀 하부 고정부위에 코킹 등 마감이 불량하면 창틀로 우수가 유입됨

주어진 정보로 생각 하였을때는 이정도로 생각이 되네요.
M 관리자 03.14 10:24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