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미늄 창호 결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좀 특이해서요!

하자관련 질문/사례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알미늄 창호 결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좀 특이해서요!

G 김신욱 10 2,395 2021.12.30 10:33

안녕하세요 이번에 건물을 신축하고 처음으로 난방을 했는데 창호와 창에 결로가 생겨 문의 드리려고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현상이 조금 특이한게 안쪽에 결로가 생기는 곳 과 안과 밖 전부 생기는 곳이 있다는 겁니다. 방이 있는곳이 2~4층 까지인데 3,4층은 안쪽에 결로가 생기질 않았습니다. 창가쪽에 온,습도계를 뒀었는데 창가온도 15도에 습도가 45%정도 일때 안쪽에는 결로가 생기질 않았는데 창호를 열어보니 사진과 같이 바깥쪽 프레임 아래쪽에 물이 흥건이 고여 있었습니다. 이런곳은 꽤 되구요. 2층 같은경우 사진과 같이 안쪽에도 결로가 생겨서 물이 흐를정도 입니다. 2층 창가에 온습도계를 뒀을때 평균 17도에 55%정도였고 새벽으로 갈수록 상승했습니다. 샤워하고 화장실 문을 열면 75%까지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환기시켜 47%정도에서 새벽 2시에 취침을 해서 오전 9시에 체크했을때 사진과 같은 상태였습니다. 창호에 롤 방충망과 블라인드를 설치하기위해 피스를 뚫어 놓은것이 문제인지 아니면 창호 코킹 모서리 부분의 틈이 있어서 거기가 문제가 되는것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외부에 생기는게 문제가 되는건 고드름이 맺혀서 지나가는 행인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 때문입니다. 창호가 열리지 않는 문제도 있구요. 건축당시 비계에 직접 올라가 우레탄 폼을 더 기밀하게 시공한다고 매일같이 뿌리고 다녔었는데 이런일이 생기니 허탈하기도 하네요. 전문가 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장이 서울 명동에 있으니 혹시 일정이 괜찮으시다면 방문해주셔도 언제든 괜찮구요.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1.12.30 16:45
아마도 벽과 만나는 부분의 컨디션이 서로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알루미늄 프레임은 열적인 한계가 분명해서요. 결로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려울 수 있어서 대부분의 주거시설에서 PVC를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지금으로써는 습도 관리를 하시는 것이 최선이며, 그렇다고 건강습도보다 더 낮게 습도를 낮추기 보다는.. 습도는 유지하면서 생기는 결로는 그냥 수용을 하셔야 하는데.. 말씀하신 피스 자국 등은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저 알루미늄프레임이라는 한계와 벽면과의 접합부 시공에서의 차이가 합친 결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G 김신욱 2021.12.30 17:30
댓글 감사합니다! 3,4층은 생기질 않는데 2층에만 안쪽에 생겨서 혹시 뭔가 막을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습니다.. 마음같아서는 프레임을 데울수 있으면 좋겠는데 그런 방법은 없는거 같더라구요..제가 직접 습도 관리를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상업시설이다 보니 쓰는 사람이 환기를 안해버리면 답이 없는 상황입니다.. 알미늄에 단열을 (까만색부분) 했어도 결로는 생기는거로 감수를 해야되는건가요?
M 관리자 2021.12.30 19:05
아 다행히 상업시설이네요..
상업시설이라면 실내습도가 그리 높지는 않을텐데요.
말씀하신 부분의 구조체와 만나는 부위의 단열이 건전하면 내부까지는 생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가정을 뿐.. 실제 창틀의 성능과 공사 상황을 알아야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 불편하시면 맨 상부 사진에서, 창틀과 붙어 있는 석고보드를 일부 절개해서, 그 내부의 상황을 살핀 후, 단열재의 결손 부위가 있다면 그 곳을 보완해 주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G 두바이 2022.01.01 20:28
사진으로 보아서는 열림창이 C/M OUT 타입으로 보이는데 VENT 외부에 결로가 생긴다면 VENT와 VENT FRAME 사이에 열교현상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스켓 특히 코너 부분 단절이 없는지 확인하시고 힌지 부분에서 누기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만약 C/M OUT 타입이라면 힌지 부분이 열교 최대 취약점입니다.
G 김신욱 2022.01.04 14:01
가스켓이 고무 부분 말씀하시는거죠? 흰지는 문 잠그는 부분을 말씀하시는거구요? 모르는게 많네요 제가 ㅜ 창문 프레임 옆사진을 올립니다! 이게 c/m out 타입인건가요?
M 관리자 2022.01.04 14:19
지금 물이 맺혀 있는 모서리의 안쪽에 작은 홈이 하나 있지 않나요?
G 김신욱 2022.01.04 14:20
추가로 물이 새는 지점 사진도 올립니다! 외부프레임 바깥쪽 상단입니다!
G 김신욱 2022.01.04 14:23
혹시 이지점 말씀하시는걸까요? 저도 이지점이 심히 의심스럽긴한데 물이 위에서 흘러나와서... 위에도 저렇게 되어있으면 새는게 맞는걸까요?
M 관리자 2022.01.04 14:38
검정 가스켓은 비교적 정상 상태입니다. 이 것이 원인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빗물이 유입이 된다면, 상부 프레임에 이격이 있는지를 보셔야 하고, 결로 현상은 달리 대책이 딱히 없을 것 같습니다.
G 이필승 01.13 14:55
위 건물은 커튼월 (Stick Type)에 끼워 넣기 (Insert) 되는 개폐창 이네요.
문의 Type은 프로젝트 (Project Out Type) 방식으로 문짝의 하부가 외부로 열리는
가장 일반적으로 건물에 사용되는 문짝의 유형입니다.

품질 점검 체크 포인트
1. 수직재 (Mullion)과 수평재 (Transom)은 모두 실링으로 되어야 합니다.
-> 상부 올려본 사진이 두 부재 만나는 부위가 실리콘이 누락 되어 있네요.
문을 해체 하시고 다시 실리콘 작업후 재 설치를 해야 합니다.
2. 커튼월 유리를 현장에서 끼는 방식으로 (Stick Type) 문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문짝의 프레임 부분을 먼저 설치하고 실리콘 작업을 테두리에 시공한후 문짝을
암대로 고정해야 합니다. 이 절차를 놓치거나 생략하면 4면 테두리에 연속적인
실리콘 작업이 누락되어 기밀 / 수밀 성능이 떨어집니다. 번거롭지만 문짝 프레임과
문짝은 결합된 상태에서 시공하면 하자 입니다.
3. 상부 올려본 사진으로 볼 때 수직 가스켓은 보이는데 수평 가스켓 않보이네요.
테두리 가스켓과 실리콘은 4면 연속 시공이 되게 해주세요.
4. 문을 완전 잠금 상태에서 문짝과 프레임 사이에 가스켓은 기밀/수밀을 막아 주어야
합니다. 종이로 된 명함으로 간편하게 삽입시 들어가면 Fail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치법은 하부 걸쇠(Striker)를 스크류를 풀러 안쪽으로 당겨서 재설치하고 정 않되면
가스켓을 더 볼륨있는것으로 교체 시공을 권장합니다. 

실내 결로가 생기는 습도 관리시 문짝 틈이나 열린 상태에서는 가장 낮은 온도 지점에
결로가 맺히고 계속되면 겨울철에는 고드림으로 발전합니다. 문짝은 열고 닫기가 약간
불편하더래도 빡빡하고 문을 열고 닫을때 공기가 퍽퍽 소리가 날 정도로 압착이 잘된
상태가 기밀이 좋은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