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1년된 신축아파트 실외기실 외벽 크랙 사진입니다.
동그라미로 표시된 크랙들이 누수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건설사에서는 저정도의 크랙으로는 누수가 되지 않는다며 크랙 보수를 차일피일 미루는 상황으로
루버창 실리콘 작업만 계속 진행하며 누수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갈 수록 크랙의 길이(크기)가 길어지고 새로운 크랙이 생기고 도색 벗겨짐이
점점 심해져서 하루라도 빨리 외벽 보수 작업해달라고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데
건설사에서는 심각하게 생각하지도 않고 계속 시쿤둥한 반응만 보여 답답합니다...
정말 저 크랙정도는 아무 문제도 아닌건가요?
일년된 아파트가 저렇게 도색 다 벗겨지고 크랙가고 실리콘 갈라지고 하는게 정상인지 모르겠습니다...
균열은 지금 당장 보다는 균열의 양상이 멈추는 시점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그러면 또 다시 보수를 반복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 보다는 누수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어느 지점에서 어느 정도의 누수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기에 달리 드릴 말씀은 없습니다.
외벽측에 도장이 실리콘이 마르면서 당겨진것 처럼 보이기도 하구요.
배수홀이 있는 타입의 창호는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시 틀에 물이 차서 들어올 수도 있습니다.
다만 창호가 전체적으로 보이지 않아 해당 타입일지는 모르겠습니다.
------------
균열은 대개의 경우 2년 안에 멈추게 됩니다.
누수의 경우 균열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위의 댓글과 같이 창틀과 균열을 같이 보셔야 하는데 균열의 경우.. 이 정도의 균열은 외부퍼티로도 잡을 수 있습니다. 다만 진행되는 균열이라면 그 것이 멈춘 후에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