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틀누수 보수방법

하자관련 질문/사례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창틀누수 보수방법

G 댕댕 9 1,127 2023.12.14 15:56

내부쪽으로 많이 흘러내리네요..

외벽은 pf보드후. 파벽돌 시공입니다.

 

시공시. 실리콘시공이 불안해보였는데.

외부창틀 실리콘만 재시공하면 될지.

아니면 창호테두리를 징크를 둘러야될지.

 

다른방법은 없는지 넘 궁금합니당..

Comments

M 관리자 2023.12.14 16:28
파벽돌 마감을 한 후에 창문을 설치했나요? 아니면 단열재를 붙히기 전에 창호가 설치되었나요?

그리고 파벽돌이라고 하심은.. 벽돌타일 일까요?
G 댕댕 2023.12.14 16:56
단열재 붙이기전에 창호가 설치되었으며, 태두리는 폼과 실리콘으로 사춤하고, 파벽돌(모노타일)을 부착하였습니다.
M 관리자 2023.12.14 17:09
이 창이 알루미늄 차이라서..
빗물의 유입은 크게 두군데입니다.

말씀하신 "창틀과 구조체의 실리콘 접착 부위의 벌어짐" 과 "창틀 자체의 이음매를 통한 유입" 입니다.

다만 불행히도 이 두가지 모두 외부의 파벽돌과 단열재의 일부를 절개해서 그 안을 보고, 보수를 해야 하기에,  우선은, 비가 오지 않을 때, 창틀의 상부에 물을 부어 보아서, 그 물이 외부 물구멍으로 잘 빠져 나가고 있는지, 아니면 실내로 유입이 되는 물이 있는지를 보시어요.
이 실험으로 아무 이상이 없다면 외부로 부터의 유입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G 댕댕 2023.12.14 17:26
아 그럼, 비오는날 물을부었을때 실내로 유입되면, 창틀자체 이음새이니까. 창틀 이음매를 실리콘 처리를 해주면 되는거죠??
혹 그게아니라면, 실리콘접착부위의 벌어짐이니.
1. 단열재와 파벽돌을 일부뜯던가?
2. 외부창틀 테두리 실리콘 덧방코킹 방법밖에 없는거죠??

두번째 질문은. 모노타일 부착후, 건물전체에 발수제 시공을 하지 않았는데, 그영향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모노타일의 발수제는 필수인지요??
M 관리자 2023.12.15 13:37
비가 오지 않는 날 부으셔야 확인이 더 정확입니다.

나머지는 외부의 문제입니다만, 일부 철거없이 실리콘작업을 하는 것은 그리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발수제 시공 여부와 누수는 서로 무관해야 정상입니다. 그러므로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습니다.
G 퍼엉 2024.12.13 16:40
창틀 누수 관련으로 검색하다가 작성자 분과 비슷한 내용의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겨 봅니다.

저는 천장 누수가 발생하여 검사를 진행했고
윗집의 창틀 자체의 내부 손상이 원인이라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창틀 자체의 이음매의 유입'과도 비슷한 부분이라고 생각되는데

이럴 경우에 샷시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방법 말고
창틀을 철거한 다음 내부 손상이나 벌어진 이음매 등을 보수하는 방법으로 처리해도 괜찮을까요?

아무래도 샷시 교체 비용이 비싸다 보니 이런 방법도 괜찮다면 윗집에 제안해보려고 합니다.
M 관리자 2024.12.13 17:07
어느 부분이 손상되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만, 눈에 보이는 파손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게 보수가 가능합니다.
G 퍼엉 2024.12.13 17:16
아 그렇군요.
구축 아파트라 샷시도 오래되긴 해서..
눈에 보이는 파손 외의 부분도 있을 수 있다고 고려한다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겠네요.
오래된 글에 댓글 남겼는데도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4.12.13 17:32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