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물론 이 "더 낫다"라는 표현은 설계/시공의 건전성과 관련이 있어서 딱히 맞는 표현도 아니긴 합니다만...
합지보다 실크벽지가 낫다는 말씀이신거지요?
목조주택의 건전성은 벽지 안쪽 부터 시작해서 외벽으로 어떤 구성을 가지고 어떻게 시공이 되었냐로 결정됩니다. 벽지는 그저 숟가락을 얹는 것일 뿐입니다.
위의 최가이버님 댓글은 이 것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고요.
그러므로 더 낫다 아니다 를 판단할 만한 가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 불구하고, 건전하지 못한 목조주택에는 비닐벽지가 조금은 나은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전하다면 비닐벽지는 독입니다.
지금의 정보로는 건물의 건전/비건전을 판단할 근거가 없기에 답변이 어려운 것이고요.
그 건전함을 서로간에 알 수 없기에, 가변형방습지가 사용되지 않았다면 비닐벽지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라는 짧은 답변으로 갈음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집 바깥쪽으로 전체 타이백으로 감쌌습니다.
투습 방수지로 알고 있습니다.
내벽은 글래스울로 단열을 치고
석고보드 한 피스 치고,
도장을 위해서는 고밀도 MDF로 마감으로 할려고 합니다.
그런데 도장이나 합지보다는
단열이나 결루를 위해서도
비닐 벽지를 하는 편이 더 낫다는 말씀이시지요.
비닐 벽지는 시트지를 말씀하시는 건지요.
말씀하신 구성에서는 비닐벽지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