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지붕 단열시 샌드위치 판넬 적용여부
1 서성열 (211.♡.154.159)
6
8,220
2015.10.18 21:08
안녕하세요!
RC구조물 평슬라브 옥상에 단열재를 깔고 상부에 각파이프 대신 샌드위치 판넬을 얹어서 징크마감을 할 경우 혹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300mm콘크리트 슬라브 - 시트방수 - 100mm 압출법 단열재 2겹 - 우레탄 샌드위치 판넬 100mm - 합판 - 방수시트 - 벤틸레이션 매트 - 징크마감
지붕 마감을 이렇게 구성할 경우 혹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콘크리트 슬랩 - 열반사 단열재 6mm - 배수판 30mm(중공층 확보용) - 경량기포 con'c 34mm - 단열재 80mm - 몰탈 40mm - 마감재 10mm 로 구성할 경우 열반사 단열재로 복사열 차단으로 인한 단열 효과와 상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의한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
1. 지붕의 구성은 가능합니다만, 결국 다시 제자리 일 듯 합니다.
샌드위치 판넬을 구조체에 고정을 해야 하고, 징크마감 역시 어딘가에 고정을 해야 하는데요..
일단 징크마감을 샌드위치판넬의 얅은 철판에 고정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결국 샌드위치판넬 상부에 각파이프를 대고, 이를 다시 SST 앵커를 이용해서 골조까지 연결을 해야 하므로, 다시 제자리로 돌아 오게 될 듯 합니다.
지붕 주변의 마감을 알 수 없어서 조금은 뜬 구름 잡는 표현이 될 수 있겠습니다만,
징크로 마감을 한다면, 순서를 아래와 같이 해도 무방해 보입니다.
콘크리트 슬라브 - 100mm 압출법 단열재 2겹 - 목재각상(SST 앵커로 골조에 고정) - 합판 - 방수시트 - 불활성매트 - 징크
2. 바닥에 까는 열반사단열재는 무의미합니다. 층간소음 전용 자재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아니면 아주 고밀도의 바닥용 글라스울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배수판 30mm 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 궁금하며...
경량기포콘크리트도 필요없어 보입니다.
2. 배수판 30mm는 첨부그림과 같이 열반사 단열재의 중공층(30mm) 확보용과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상부 면에서 발생하는 울림의 전달을 좀 끊어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경량기포는 (최고높이 64mm 최소높이 34mm) 원래 설계에 있기도 하고 배수판에 단열재를 시공할 수 없어서 넣은 것이구요...
바쁘신 와중에도 꼭두새벽에 답변 달아 주셔서 황송하오며 건강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말씀하신 것처럼 접촉면이 작아지면서 소리의 전달이 같이 줄어드는 효과는 있지만, 공간 내부가 딱딱한 소재라 그리 효과를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오히려, 글라스울매트 (바닥용 10mm)를 깔고, 고밀도단열재를 넣고, 벽과 바닥몰탈이 직접 닿지 않게 처리를 해 주고, 바닥 몰탈의 두께를 50mm 로 늘리는 것이 더 나아보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의 두께가 300mm 나 되기 때문에... 일단 먹고 들어가는 (?) 면이 있습니다.
질문 매번 감사드립니다.
서성열선생님도 항상 건강하셔요~~
알려주신 내용을 토대로 다시 정리하여 시공토록 하겠습니다!
협회가 없었다면 지금 과연 무슨 짓을 하고 있었을지 생각하면 끔찍하네요...ㅎㅎ ^^
아래 글의 첨부파일로 제가 올리니 사진을 참고해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