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재의 수축 정도 질문 드립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단열재의 수축 정도 질문 드립니다

G 단열성 2 362 06.18 12:42

안녕하세요. 지붕 외단열을 eps와 폴리우레탄보드 중 어느 것으로 시공할지 고민중입니다. 단열성능은 폴리우레탄보드가 높지만 겨울에 수축된다는 글을 봤습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보드를 밀도 40k이상으로 사용하면 수축 현상이 현저히 적다는 글도 보았습니다. 


현저이 적다는 게 그래도 수축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건데 수축이 일어난다면 단열성능이 좋더라도 eps를 사용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수축이 일어나는 정도가 eps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일어나는 걸꺼요?


하나 더 질뮨드립니다. 목조 주택을 짓고 있는데 시공사에서 구조목에는 비를 맞아도 된다고 합니다. 구조목에 비를 맞아도 되는 걸까요?

Comments

3 재섭 06.18 17:10
1.EPS 수축율이 0~0.4%정도로 알고 있고
폴리우레탄보드 수축율이 1%미만이라는 말만 들어봤고 자료서 근거를 대려고 찾아보니 못찾겠군요 ㅠㅠ

2. 목구조중 중목구조의 큰 기둥들은 어떤 미학적 이유로 노출시키기도 합니다
  경량목구조를 고민하실꺼 같은데, 경략목구조라면 가급적 노출 시키지 않는 방향을 생각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화학처리하는 비용, 유지관리하는 비용, 열교없는 디테일을 살리는 일 등등을 따져보면 안하는게 좋습니다
  중목구조도 사실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은 기후사정상 그러합니다.
M 관리자 06.18 19:50
재섭님 감사합니다.

------------
1. 폴리우레탄보드의 수축은.. 주로 겨울철 시공에서 두드러집니다. 생산된 제품의 내부 온도와 설치시의 온도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 것이 원인입니다.
(물론 제조사마다의 품질 편차도 있습니다만..) 온도 조건만 맞다면 위의 댓글처럼 1% 미만을 보입니다.
그럼에도 비드법2종3호 단열재를 가장 권해 드립니다.

2. 어떤 비, 어느 정도의 시간을 맞느야에 따라 다릅니다.
본질적으로는 안 맞는 것이 가장 좋지만, 며칠 내리는 가랑비, 그리고 하루 정도의 장대비 정도는 괜찮습니다.
다만 그런 후에 잘 말려야 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