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건식구조에서는 단열 보다는 기밀성능이 현저히 낮은 것이 항상 문제가 됩니다.
그러므로 연질폼을 시공하는 것은 이 기밀성능을 높히는데 분명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연질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내측에 시공되는 판넬의 모든 조인트에 기밀테잎을 붙여도 그 결과는 같고 그 비용도 훨씬 저렴합니다. 그저 기밀테잎 시공을 해본 분들이 거의 없다는 것이기에, 그에 따라 결과의 품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실행의 문제입니다.
질문의 범위는 아니지만, 외부 열반사단열재 위에 붙는 콘크리트사이딩이라는 재료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지만, 열반사단열재와 사이딩 사이에 25mm 이상 두께의 공기층이 있어야 하며, 그 공기층은 통기층으로 작용을 해야 합니다.
다만 이 역시 원래 해 왔던 방식이 그러하지 않는다면, 실제 실행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림에서 3mm 방습지라고 표현된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물어봐 주실 수 있으실까요?
그림이 예전그림이라네요
열반사단열지에 사이딩 마감만한다고합니다.
이런 건식구조에서는 단열 보다는 기밀성능이 현저히 낮은 것이 항상 문제가 됩니다.
그러므로 연질폼을 시공하는 것은 이 기밀성능을 높히는데 분명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연질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내측에 시공되는 판넬의 모든 조인트에 기밀테잎을 붙여도 그 결과는 같고 그 비용도 훨씬 저렴합니다. 그저 기밀테잎 시공을 해본 분들이 거의 없다는 것이기에, 그에 따라 결과의 품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실행의 문제입니다.
질문의 범위는 아니지만, 외부 열반사단열재 위에 붙는 콘크리트사이딩이라는 재료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지만, 열반사단열재와 사이딩 사이에 25mm 이상 두께의 공기층이 있어야 하며, 그 공기층은 통기층으로 작용을 해야 합니다.
다만 이 역시 원래 해 왔던 방식이 그러하지 않는다면, 실제 실행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