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베란다 단열안할거면
1.거실발코니 단창22mm 투투
2.거실 분합창 발코니 단창 24~26mm 투명로이+투투 단열간봉
(로이유리 관련글에서 보통3번으로 나타내는 곳에 로이유리)
3.안방내창 이중창(중창) 24~26mm 투명로이+투투 단열간봉
4.입구확장방(하프창) 발코니 이중창 24~26mm 투명로이+투투 단열간봉
(북향이지만 확장방이라 로이유리)
5.주방 분합창 단창 24~26mm 투투 단열간봉
(북향은 로이유리 성능이 약하다고 들어서 빼보았습니다)
6.주방방 이중창(단창) 24~26mm 투투+투투 단열간봉
7.주방 발코니 단창22mm 투투
이렇게 바꾸면 괜찮을까요?
추가질문1)그리고 2,5번 분합창은 단창으로 해도 괜찮을지요?
추가2) 5번을 터닝도어로 변경한다고 하면 샷시한쪽을 합판으로 가벽치고 가벽에 단열하면 분합창 단창과 비슷할까요?
2,5번은 이중창을 권장합니다. 다만 5번은 비교적 빈번한 출입을 할 가능성이 높다면 단창으로 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가장 허접한 단열벽은 언제나 가장 높은 성능의 창보다 단열 성능이 좋습니다.
5,7번 에 로이 유리가 들어가야한다고 하셨는데요.
혹시 7번 베란다 쪽이 아니고 6번 방쪽에 로이 하는게 맞는지 확인 차 다시 여쭈어 봅니다.
제가 잘못 적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하다가 한가지 더 궁금한것이 생겼습니다. 공기층에 관해서 인데요.
1. 기존 질문들을 찾아본바 '복층 유리 사이에 아르곤 가스를 넣지 않는다면 단창이나 이중창 모두 22mm(5-12-5)까지 최대 효율을 낸다.' 라고 보면 될까요?
2. 그리고 샷시 업체에서(k사) 본인은 단창 이중창 26mm를 기준으로하기 때문에, 샷시 전체 26mm에 단열간봉 아르곤가스 넣은걸로 하자고 합니다.
26mm 기준으로 괜찮을까요?
2. 제가 잘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묻고자 하는바는 "발코니창(1,7) 과 내부창(2,3,4,5,6)으로 나눴을때 (아르곤가스, 단열간봉 모두 있음) 각각 몇 mm가 효율적일까? 입니다."
이유: 샷시 견적을 받았는데 모든창을 26mm로 하고 로이유리, 아르곤가스, 단열간봉 모두 넣었습니다.
전체를 26mm로 할필요가 있나 라는 생각이 있어서요. 발코니 창에는 로이유리 빼야할듯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