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재를 넣어야 하는 벽면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단열재를 넣어야 하는 벽면

G 이진아 14 689 05.07 12:34

오래된 주택. 아이방에 심한결로+곰팡이가 생겼습니다.

처음엔 각각 세 분이 와서 방을 보았고 견적을 냈는데

세분 다 외단열(외부단열)은 필요없고 내단열(방안)만 하여

150~200정도 견적을 냈는데

1.천장과 방 네 면을 다 해야한다

2.곰팡이 핀 부분만 해도 된다 ( 외부벽과 닿아 있는 벽면)

3.천장은 안하고 벽면만 한다

의견이 갈립니다.

 

결국 견적을 받은 집주인은 비용을 문제로

해줄 수 없다는 입장으로 5개월째

방은 계속 방치되어 있습니다

 

우연찮게 이보드로 셀프 내단열을 한 글을 봤고

패시브 도움을 많이 받았다는 말에

패시브에서 단열 관련한 여러 글을 보았고

단열은 외부단열. 아이소핑크의 단점. 이보드의 방안 시공의 부적합 등 셀프시공에 필요한 정보는 알았습니다

 

지금 셀프시공으로

벽지,몰딩제거

아이소핑크100

이음새 기밀테이프(창틀포함)

석고보드2겹

샌딩

초배지도배

벽지도배

까지 구상했는데 아이소핑크를 붙여야하는

벽면을 어디까지 포함 시켜야 할까요

Comments

M 관리자 05.07 14:27
지금 사진에 보이는 두 면이 모두 외부와 접한 벽인가요?
그리고 적어 주신 것으로 보아, 석고보드까지를 다 철거하고 단열 공사를 하실 계획으로 보이는데, 맞는 걸까요?
G 이진아 05.07 14:41
네 맞습니다
그리고 석고보드는 안들어 있어요.
쌩벽에 벽지만 발라져 있어요
G 이진아 05.07 14:42
셀프시공시 천장은 안하려고요
M 관리자 05.07 14:57
알겠습니다.
춥지 않는다면, 100mm 까지 하지 않으셔도 되세요.
그리고 어느 한쪽이 너무 두꺼워 지면 다른 쪽의 취약점이 생기기도 하고요.

그러므로 단열재는 지금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보이는 50mm 정도로 하시고, 나머지는 계획대로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천장을 하는 것은 무리이니 제외를 하고, 외벽면 두 면만 하시면 되세요.
다만 노파심에.. 단열재 셀프까지는 가능해도 석고보드는 쉽지 않습니다. 한번 시도해 보시고.. 영 어렵다면 동네 인테리어 가게를 통해서 일당으로 하실 분을 섭외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공사 후에는 샤오미 온습도계를 하나 사두셔서 겨울철 건강습도 (40% 내외)를 지캐도록 노력하셔야 하고요.
G 김진아 05.07 16:17
방이 추워요
구석이라 햇볕이 안들고 그늘입니다
그래도 취약점 생각해서 50mm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석고보드는 목상 작업없이 (기타 타공작업 포함)
폼이나 본드로만 가능하다고 봤는데
맞는지요.
G 이진아 05.08 04:51
목상작업이 꼭 필요하다면 불가피하게 이보드 바꾸는수밖에 없는데
한달이상 환기 시키면 괜찮겠지요
M 관리자 05.08 10:38
그럼 (근거가 없는 답변이긴 하나) 70~80mm 정도면 어떨까 합니다.

석고보드는 접착으로 시공 가능합니다. 목재바탕틀이면 더 좋겠지만 상황의 한계가 있으니까요. 그래도 쉬운 작업은 아니실거여요.
G 김진아 05.08 15:00
그럼 목상작업을 해야 할 경우 목재의 두께는요?
12*12*100mm짜리로 하나요
G 김진아 05.08 15:38
석고보드를 두겹 시공할때 마감용이 따로 있나요? 검색했을때 마감용은 따로 안나오는데 '석고보드 두겹 시공'으로 검색하니 명칭이 달라서요
M 관리자 05.08 15:58
마감용이라고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일반 석고보드를 사용하시면 되세요.
목재는 최소 30x30mm 의 단면 크기를 가져야 합니다. 다만 셀프시공은 목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접착이 조금이라도 더 용이합니다.
G 이진아 05.08 16:30
아이소핑크 위에 석고보드 1차로 붙일때
아이소핑크 위에 프라이머 발라줘야 하나요?

석고보드 1차 붙일때
석고본드,폼본드 뭘로 사용하나요
석고본드 굳는 시간이 2,30분 소요 된다하여 걱정이 앞섭니다

석고보드 2차로 붙일때는
대타카로 쏴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1차와 동일하게 석고본드 인가요

마무리로 석고보드 틈은
수용성실리콘이나 인테리어필름으로 한다는데
수용성 실리콘이 더 나을까요
M 관리자 05.08 16:36
폴리우레탄 접착폼을 사용할 경우프라이머는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폴리우레탄 접착폼이 아니더라도 G2 본드라고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면 그 역시 필요없습니다. 다만 G2본드는 역한 냄새가 나기에 가급적 폼으로 접착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석고본드(https://gundalin.com/product/%EC%84%9D%EA%B3%A0-%EB%B3%B8%EB%93%9C%EC%84%9D%EA%B3%A0%EB%B3%B4%EB%93%9C%EC%9A%A9-%EC%A0%91%EC%B0%A9%EC%A0%9C/134/)를 사용하면 프라이머가 필요합니다.

접착용폼은 건조시간이 빠릅니다. 다만 요금 요령이 필요한 것이...
폼을 분사하자마자 붙이면, 붙여진 상태에서 폼이 더 부풀어 오르기에 면을 잡을 수 없고,
폼을 분사하고 5분이 지나면 표면이 건조되면서 접착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작은 조각으로 몇번 시행착오를 겪어 보셔야 합니다.

마무리 틈새 처리는 수용성실리콘이 좋습니다.
G 김진아 05.08 17:46
아이소핑크 마감시 옆,윗면은 방습테이프로 하는데
바닥마감은 바이오실란트로 맞나요
그럼 석고보드 틈 외에 옆,위,바닥은 수용성 실린콘으로 같이하나요
M 관리자 05.08 19:04
바닥도 방습테잎인 것은 같습니다.
저는 방습테잎을 사용하지 않으신다고 생각을 했어요.

다만 기존 벽면이나 바닥이 울퉁불퉁해서 테잎 시공이 쉽지 않을 수 있는데, 그 때는 실리콘을 먼저 바르고 그 위에 테잎 시공을 하시면 되세요.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