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빌라탑층입니다.
천장까지 다뜯고 하기엔 시간도 시간이고..
생활하면서 공사하기가 힘들것같아서
벽만 단열 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현재는 안방 먼저 끝내고 나머지부분들 하려고 안방짐은 거실로 다 빼놓은 상태입니다.
이렇게 외기에 닿는 벽만 단열을 할예정이였습니다.
20년된 건물이기도해서
천장은 당연히 단열 안돼있을거라 생각했고,
빨간 테두리부분만 단열할생각이였습니다.
그런데 천장 상태를 보려고 구멍뚫어서 확인해보니
비드법으로 천정이 단열시공돼있더라구요.. 헐렁하지는 않았고 기밀시공까지는 확인못했지만.
영상으로 체크했을땐 촘촘하게 돼있긴했습니다.(그래도 곳곳에 하자가 있을지도모르겠네요)
천장 안뜯고 벽쪽에만 단열 공사하려고 예정중인데..
현재 곰팡이 핀곳이나 이런곳없는상태인데..
괜히 저렇게 했다가 천장단열과 벽단열 사이 공간때문에 습기차고 물생겨서
단열상태는 올라가더라도 곰팡이가 생기진 않을까 해서 여쭤보고싶어서 글써봅니다..
천장을 뜯고 하는게 제일 베스트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하면
제가 하려는 대로 천정 아래공간 비더라도 단열시공을 하는게 나을지
오히려 취약한 부분을 만들어서 곰팡이 천지로 만드는건 아닐지해서 여쭤보고싶습니다.
외벽 단열재의 건전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열반사단열재로 했는지, 일반단열재로 했는지, 또 일반단열재로 했다고 하더라도 그 것을 어떻게 시공을 했는지에 따라 상이하기에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이 부분을 어떻게 하는 것이 최선일지에 대한 말씀을 드리기에는 너무 무책임한 답변일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그저 기존 상태에서 전혀 곰팡이 등이 없었다면 난방비가 더 들더라도 기존 상태를 유지하고 겨울철 건강습도를 유지하며 지내시는 것도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