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관련문의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배수관련문의

G 시그림나무 5 525 04.30 15:35

 안녕하세요. 


배수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배수가 안되는 땅에 대한 세심하게 계획하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시는 권희범 빌더님의 과거의 질문도 있었는데요.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8369#c_8400)

저희 단독 주택 1층 신축현장은 오래전 논으로 사용되었고, 다랭이 논처럼 된것을 논흙으로 성토가 되고 20년동안 밭으로 사용된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땅입니다. 

터파기 할때 평판재하시험으로50 kN/m²이 나와서 재생골재로 지반개량을 했습니다. 

이미지 처럼 지붕이 우수를 빗물받이 없이 받아 유공관(150mm)을 통해서 자연배수 및 배출 하려고 계획했습니다. 

현재 고민은 배수가 잘 되지 않은 땅이니 비가 많이 올때 유공관 하부쇄석층으로 물이 들어가고 그 물이 건물 하부 재생골재까지 물이 들어갈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초하부에 재생골재층에 물이 있으면 건물에 안좋을 거 같은데요. 의미있는 영향인지 넘어가도 되는 정도일까요? 

 

배수를어떻게하는게장기적으로나을까요? 

 

*4월 28일  0.1mm 비닐 2겹을 깔고 버림콘크리트를 90mm 두께로 했습니다.  버림콘크리트 후 5시간 정도 지나서 보니 크렉이 간곳들이 보입니다. 버림이어서 그냥 지나갈도 될거 같은데 보수를 해야할까요? 


스크린샷 2025-04-30 14.11.24.png

 

재생골재로 물이 들어가면 안될거 같다는 생각에 대안으로 빗물받이를 두는 것도 생각해봤지만  그리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스크린샷 2025-04-30 15.31.19.png

Comments

M 관리자 04.30 21:56
올려 주신 그림이 작아서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나, 질문의 핵심은.. 기초 하부의 재생골재에 물이 많이 들어가는 것이 괜찮은가? 라면... 괜찮습니다.
그렇게 되는 것이 정상이기도 하고요.
다만 기초측면의 단열재를 쇄석 위에서 끝내지 말고, 기초맨 아래까지 연장을 하고, 그 위치에서 수평으로 바닥에 까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34
G 시그림나무 04.30 23:02
네 질문의 요지가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크기를 수정했습니다. 단열재는 기초 측면 모두 덮는것인데 제가 잘못 그렸습니다. 놓치면 안되는 부분까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초 하부에 재생골재 하부 흙이 자연배수가 잘 된다면 괜찮을거 같은데요. 며칠동안 배수가 잘 안되는 땅이어도 괜찮을까요?  쇄석 상부에 물기는 없겠으나 습기가 올라올수 있으니 기초 토대목밑에는 방수시트를 하는게 나을까요?

건축에는 상황에 따라 방법이 달라 질수도 있어 조금더 상세히 여쭤봐야할거 같습니다. ^^
M 관리자 05.01 12:10
그래도 괜찮습니다. 원래 물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에 그렇습니다.
목구조라면, 토대목하부에 방수시트가 도움이 됩니다.
G 시그림나무 05.01 16:15
항상 감사합니다.
버림 콘크리트18루베를 포크레인으로 타설 했는데 첫차 레미콘에서 타설 한 곳에 세로로 7m 크렉이 가고 그 크렉과 교차에서 여기저기 크렉이 생겼습니다. 크렉의 깊이는 아직 재보지 않았고 표면 크렉의 폭은 3~5mm정도 됩니다. 버림이어서 물이 그 사이로 침투하지 못하게 수성 방수본드로 보수하려고 하는데요. 에폭시 보수제로 더강한 보수를 해야하는상황일까요? 콘크리트 균열보수제로 괜찮은 제품이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M 관리자 05.02 00:22
딱히 보수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그냥 두시어요.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