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큰 도움이 되는 협회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연각관 골조에 EPS 판넬로 벽체를 구성한 단순 박공형 근생입니다. (중부 1지역)
이 건물의 외부에 칼라강판, 루바강판, 목재사이딩, 아스팔트슁글 등등의 자재를 이용해 외장과 지붕을 마감하고, 내부에도 합판이나 석고를 부착해 마감하려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를 부착하는 방법인데, 통상적인 방법처럼 하지 작업을 하려니 난관에 봉착하게 됩니다. 판넬에 하지를 고정하려니 0.5t에 불과한 강판이 충분히 버텨줄 수 있을까 걱정이고, 판넬 내부의 각관에 고정하려니 우선 각관 자체가 목조와 달리 듬성듬성 서있는데다가 판넬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 피스를 박기가 곤란할 것 같습니다.
혹자는 실리콘만으로도 충분히 강한 고정력이 확보되므로 판넬에 바로 부착해도 된다 하는데 과연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방법이 가능할지 도움 말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다만 불행히도 우리나라 어디에도 이 0.5T 철판에 피스를 박을 경우에 대한 인발강도, 그리고 장기적 내구성에 대한 데이타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운에 기댈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라고 볼 수 밖에 없고, 그렇기에 그저 최대한 가벼운 외장재로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재나 시멘트 사이딩까지만 가능해 보입니다. (확신은 누구도 가지지 못합니다.)
다만 패널 자체는 각관까지 고정이 되므로 비록 일부 변형이 있을 수는 있겠으나, 탈락 등의 하자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실리콘은 못들은 걸로 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