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콘 직영건축 중 몇가지 문의사항 입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철콘 직영건축 중 몇가지 문의사항 입니다.

1 행복한인생 3 118 04.04 09:50

직영건축주로서 궁금한 점이 있을때마다 항상 협회의 도움을 받고 있어

추후 협회에 기부를 한다든가 등 어떤 도움을 드릴 방법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있다면 남겨주세요.

 

피트층 지하 외벽 방수로 아스팔트계 3중방수(포시몰+하이고뫄스) 후 압출법 190T 단열재를 부착 예정인데 추가 질문사항 입니다.

 

1. 190T 단열재에 폼을 리본앤댑 방식으로 쏘고 고정은 화스너로 하고자 합니다. 화스너가 박히는 부분이 방수층이 취약해지는 부분은 어차피 폼이 외곽으로 기밀하게 잡아 주기 때문에 문제는 없을것 같은데 어떨까요?

 

2. 단열재를 부착해 나갈때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도 모두 폼을 쏴서 기밀시공하고 그 사이도 방수테이프로 모두 마감을 하려 하고 있습니다. 협회에서는 방수테이프로하면 물이 들어갈경우 나올수가 없어 드레인보드를 권장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리본앤댑방식 폼을 쏘고 방수테이프까지 부착한거면 어차피 물이 들어갈 수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어떨까요?

 

3. 꼭 드레인보드를 설치해야 한다면 폼이나 이런거 사용하지 않고 못으로만 단열재에 중간중간 고정하면 될까요?

 

4. 계단을 타설했는데 면과 수평이 거칠게 나온 상태입니다. 목재마감예정인데, 사전에 미장을하여 수평을 맞춰놓으면 될까요?

 

5. 30MPa 180슬럼프 레미콘을 사용중인데 2개 회사에 잔골재와 시멘트와 혼화재 배합비율이 일부 차이가 있는데 어떤게 더 품질이 좋은 은 레미콘 일까요? 

 

A - 잔골재 25mm 시멘트 318, 플라이애시 10%, 슬래그미분말10%

B - 잔골재 20mm 시멘트 283, 플라이애시 15%, 슬래그미분말20%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사례가 없는거로 아는 시골 5층 협소주택.. 

금강 바로 앞이라 절경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계단의 단높이 13cm로 설계해 노년까지 이용해도 문제 없도록 시공중이며, 

현재 3층 슬라브까지 완료중 입니다.   

 

오늘도 힘을 주시는 협회에 무한 감사함입니다. 

Comments

M 관리자 04.04 10:25
안녕하세요. 말씀만으로 이미 받았습니다. 주셔서 감사합니다.

----------
1. 지하층의 경우 되메우기가 되기에, 화스너로 박지는 않습니다. 그저 폼으로 되메우기 전까지의 임시접착 목적으로만 붙여 두시면 되세요.

2. 물은 요상한 존재라서 항상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드레인보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단열재 사이에 테잎 시공은 과유불급이라 생략하시는 것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3. 드레인보드는 위로 감아 올려서 지상층 외벽에 못으로 고정을 하고, 되메우기를 한다음 잘라 내는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

4. 각파이프로 바탕면을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 미장을 통해 수평/수직을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5. 딱히 차이는 없는데, 저라면 B 를 선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행복한인생 04.04 17:54
드레인보드의 부직포를 단열재방향으로하여 못으로 고정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드레인보드 맨 하단에 유공관을 또 설치해 줘야 할까요?
M 관리자 04.04 17:55
그렇지 않습니다. 설치하지 않는 부위입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