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양평에서 경량목구조 준비중입니다!
저의 고민과 비슷한내용이있는지 찾아보다 없는것같아 이렇게 글로 여쭙니다.
ZIP시스템보드 취부 후
외벽마감을 스터코플렉스로 하고싶은상황에서
레인스크린까지 챙기고싶은마음에 디테일을 찾아봤지만 없는것같아서요
일반적으로 드라이비트+스터코플렉스로 하는경우에는
외단열재를 바로 붙이고 그위에 스터코플렉스 마감을 하더라구요.
ZIP시스템보드 위 레인스크린(통기포함)을 만들면서
외단열재+스터코플렉스 를 하는방법은 없는걸까요?
외부의 단열이 단열의 목적인가요? 아니면 단순히 스터코의 바탕재인가요?
우선 아래 글과 댓글을 보시고 추가 질문을 주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6634
링크 내 답변주셨던 내용토대로 봤을때 이해가 안되는부분이 있어 다시 글남깁니다.
1.통기층 확보를 위해 25mm 는 꼭 띄웠으면 하는 바램
2.EPS보드 보다는 미네랄울을 쓰고싶은 바램(외단열을 챙기고싶은 바램)
3.스터코플렉스를 쓰고싶은 바램
위 세가지 바램이 겹쳐있다보니 , 해결방법을 못찾고있습니다..
링크에서 보니 첨부한 사진처럼 하는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 맞는지 확인차 다시 글 남깁니다ㅠㅠ
ZIP 보드에 밀착해서 붙이면 되세요.
1.
목구조를 2*6 으로 구성예상중이라
140 두께를 어떻게 채워야 하는지 궁금해서 글남깁니다!
(미네랄울 제품검색했을때 140을 넘치지않게 채우는방법이 없는것같아서..)
2.
미네랄울이 나등급인걸로 검색이 되는데 그럼 중부2지역 단열두께가 성립이 안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외단열도 생각중인데 , 외단열도 마찬가지로 미네랄울+스터코마감 생각중입니다
3.
ZIP시스템보드 는 국내에 있는걸로 확인은됐으나 , 물량확보가 원활하지않다고 해서요.
외벽마감을스터코+미네랄울+ZIP시스템보드로 구상중이였는데
ZIP시스템보드를 LP웨더로직으로 변경해도 디테일에는 문제없는지 질문드립니다.
두께를 떠나서 폭도 다 잘라야 하는데, 무겁고 따끔거려서 작업을 하실 분을 구하기가 어려울 듯 싶습니다.
그래서 중단열은 글라스울이 가장 적당합니다.
2. 열전도율로 계산하는 것이 유리하실거여요. 이 부분은 설계에 들어가면 담당 건축사가 해결을 해 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3. 웨더로직으로 변경해도 괜찮습니다.
늘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