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시멘트보드를 외장재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1) 외장재로 나온 3x6, 4x8 사이즈의 시멘트 보드가 따로 있습니까?
일반 건재상이나 판매상들에게 물어보면 외장재로 쓰기위해 대부분 후처리를 해야한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요즘 현장에서는 안쓰지만 과거에 경험에 비춰보면 시멘트보드가 물에 젖었던 기억이 있네요.
시멘트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따로 있을까요? 있다면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2) 색이나 표면강화제만 칠하고 외벽에 설치하려면 적절한 두께가 있을까요?
얇다면 아무래도 약할꺼 같고, 두꺼워지면 무게가 만만치 않기에 구조에 직접설치되기에 적정두께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3)건축주는 외장재 비용을 줄이기 위해 시멘트 보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은데, 나중에 폐기물이 될꺼라는것과 너무 저렴한 제품의 경우는 오히려 미관을 저해할꺼라는 우려때문에 사용에 주저하게 됩니다. 락보드 같이 물성에 좀 괜찮은
외장재로 쓸만한 제품이 없을까요? 혹시나 해서 혜원에 연락을 해보려 해도 작년말부터는 아예 연결이 안되네요.
1. 우리나라 시장에는 없습니다. 모두 후처리가 되어야 합니다.
수입제품으로는 에퀴톤이라는 것이 있는데, 상당히 고가의 제품입니다.
2. 하지용 제품으로 9T 를 권장, 6T가 최소 두께입니다. 다만 땅하고 접하는 부분 (손이 닿거나 아이들의 공놀이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벽면)은 9T 여야 합니다.
3. 만약 건식으로 한다면 시멘트 사이딩이 좋은 제품입니다. 디자인만 잘 되고, 도장색을 잘 고르면 저렴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가 문의 드립니다.
1.만약 시멘트 보드를 오픈 조인트 형식으로 사용한다면, 전면 뿐만 아니라 단부, 후면까지 후처리가 다 되어야 하는게 맞습니까?
2. 장기적으로 봤을때 가장 효율적인 후처리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후처리가 목재의 스테인 및 규화재처럼 몇년단위로 반복 시공되어야 하나요?
2. 페인트 도장이 가장 유리합니다. 페인트는 10년 정도에 한번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