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협회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일반인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욕실 한쪽면의 타일을 위험해서 탈거를 하였는데
(수납장을 때어보니 타일이 덜렁덜렁 떨어져있는 상태였음)
조적벽으로 이루어진 모서리가 갈라져있어 방수에 문제가 있는건지 여쭙고자 문의 드립니다
(수납장이 있던 부분)
(오른쪽 갈라짐)
(왼쪽 갈라짐)
1. 방수(검은색)가 아래쪽까지 갈라져있을테니 방수가 깨진걸로 봐야할까요?
2. 방수가 깨진거라면 올철거를 하고 방수부터 다시 공사를 해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1. 네 방수층에 균열이 있습니다.
2. 철거하고 방수부터 다시 건전하게 하면 가장 좋겠습니다만, 다시해도 그 건전성을 담보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우리나라 인테리어 시장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상태에서 모서리만 보수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같은 소재가 아니더라도 우레탄실리콘실란트로 모서를 발라 주어도 괜찮습니다. 다만 실리콘이 묻은 자리는 타일이 붙지 않기에 주변으로 번지지 않도록 유의하셔야 합니다.
댓글을 보실지 모르겠지만 추가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아파트 1층이고 지하2층까지 주차장이 있습니다.
(화장실 아래는 어떤 공간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1. 화장실을 건식형태로 사용하고 샤워부스쪽에만 다량의 물을 사용할 예정인데 누수확률이 있을 수 있을까요?
(샤워부스쪽엔 약간의 크랙이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위쪽 사진은 6~7mm 샤워부스쪽 모서리는 1~2mm정도의 크랙)
2. 건식형태로 사용 시 수납장을 타일 시공 없이 콘크리트에 바로 붙일려고 하는데 물을 뿌리지 않는 곳이라도 문제가 될까요?
3. 장시간 소량의 물이 깨진 방수틈으로 누수가 되었을 시 콘크리트에 구조적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그저 물을 사용하는 공간에 균열이 있는 상태에서 조치없이 마감을 할 수는 없다.. 라는 원칙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2. 물을 사용하지 않는 면이라면 괜찮습니다. 다만, 일본과는 다르게 우리나라는 샤워공간과 세면공간이 한 공간 속에 있기 때문에.. 습기에 의한 가구 뒷면의 하자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습기가 전혀 통과하지 않는 타일과는 다르게 콘크리면은 수분이 들어갈 수 있기에.. 타일면이 아니라면 습기관리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샤워 동안, 그리고 샤워 후에도 일정 시간 배기휀 작동 필요...)
3. 그 장시간을 얼마로 보느냐에 따라 다릅니다만.. 상태가 나빠지는 것은 사실이고, 그 기간은 균열폭, 들어간 물의 양에 따라 상이합니다.
안방에서 보니 벽전체가 갈라져 그 틈으로 화장실 빛이 새어나오는 게 훤히 보일정도입니다.(어휴)
틈은 탄성있는 실리콘으로 최대한 매꾸고 협회 가이드대로 진행하면서 사례집>아파트 리모델링 시공처럼 석고보드에 방수를 하여 타일을 붙이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석고보드 시공은 단열 시공 연장선이라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른 욕실도 크랙이 보이긴하나 욕조가 있어 아주 가끔 사용하게 되므로 문제가 없을 것 같아 우선 수리만 하고 사용할 생각이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우리나라도 협회 가이드대로 시공하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