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협소주택을 지으려고 하고 있고 지금은 몇개의 대지를 봐놓은 상태입니다. 아직 계약은 하지 않았어요. 건축사사무소도 아직 구하지 않은 단계입니다만, 그래도 미리 원하는 부분을 정리해놓고 대지도 최종선택을 하고 나서 건축사사무소를 구해야 비교가 제대로 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내집 짓는 과정 블로그에 올리신 분들 글을 보니 철근콘크리트 구조 말고 타 구조는 설계 잘 못하시는 곳들도 있더라구요.
대지마다 조건이 다르지만 만약에 벽식 구조를 가정했을때 대략 층당 건축면적이 10평 남짓하게 지어질 것 같구요.(이 부분은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 기타 제약사항 때문에 줄어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나중에 내부수리는 하더라도 골조를 올리는 건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차후에 구조를 뜯어고칠 수 있게 내부벽을 다 가벽으로 하고 싶습니다. 또 저는 벽지가 아닌 페인트 마감을 하고 싶은데 철근콘크리트 벽이면 그 위에 가벽을 또 쳐야 해서 아까운 면적이 줄어드는 것도 있는 것 같아요.
일반 상가나 주상복합은 철골구조나 아니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식 구조로 잡는 것 같던데
협소주택은 구조를 어떤 식으로 잡는게 좋을까요?
대략적으로 살펴보니까 주택에서는 외벽이 문제인 것 같더라구요.
찾아보니 철근콘크리트 기둥식으로 하고 외벽도 같이 철근콘크리트로 얇게 만드는 경우가 있고 외벽을 벽돌마감 하는 경우. 아니면 H빔으로 뼈대 만들고 샌드위치 패널로 마감하는 경우, 스틸하우스랑 H빔을 섞어 쓰는 경우?
이정도가 있는 것 같은데 뭐가 제일 좋을지 궁금합니다. 지인이 감정평가사인데 지난번에 한번 물어보니 무조건 철근콘크리트로 하라고 해서 철근콘크리트 기둥식으로 마음이 쏠리고는 있습니다.
구조 방식은 지금 보다 더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데요.
우선 동일 부피(두께) 대비 구조체의 강성은 콘크리트가 가장 큽니다.
이 이야기는 동일한 면적을 내력벽없이 구성을 할 때, 보의 크기가 전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콘크리트 구조가 가장 유리한 점이 있다는 의미가 되며, 만약 북측일조권제한이나 높이 제한이 있을 때, 이런 점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외에 달리 대안은 없습니다.
반대로 높이와 무관하다면 구조의 형식은 무관합니다.
나머지 고려 사항은 높이 보다는 벽체의 두께입니다.
아무래도 좁은 대지에서 벽체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실내 공간이 줄어 들기 때문에, 가급적 법적 기준을 지키면서 어떤 구조체의 외벽 두께가 가장 얇게 할 수 있는가를 따져야 하는데..
벽체의 두께는 목구조>냉간압연스틸구조=콘크리트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벽체 두께가 첨예하다면 목구조가 유리합니다.
그 다음은 대출여부입니다.
만약 건물에 대한 감정평가 후 대출을 받아야 한다면, 콘크리트 구조외에 달리 대안은 없습니다.
그 다음은 법적 구속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방화지구 등 3층 이상에서 불연재료에 대한 제약이 크다면, 목구조는 제외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것들을 충분히 고려하셔야 하는데, 결국 담당 건축사가 합리적 해결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예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