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댓글로 화장실 방수에 대해서 질문했는데요.
PE비닐을 안깐다는 사실을 몰라서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 질문드려봅니다.
방통을 안하는 아파트등의 인테리어 공사를 할때 방통없이 그냥 화장실 공사를 할때는 당연히(?) PE비닐을 깔지 않고, 슬라브에 도막방수>시다지>타일마감의순으로 방수를 했습니다.
그런데 방통을 할때는
첫번째, 방통의 공정에 따라서 화장실에도 슬라브나 기존방통이 있을 경우에는, PE비닐>단열재>PE비닐>난방배관>방통>도막방수>시다지>타일마감의 순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첫번째 PE비닐의 역할이 바닥의 습기가 올라오는것을 막는 거라서, 2층의 경우에는 굳이 안하고 빼도 될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한 게시물에 달린 관리자님의 댓글에 보면 두번째 PE비닐조차도 필요없는것 같은데요.
그냥 위에서 언급한 아파트등의 인테리어 공사에서 단열재와 난방배관만 추가한 슬라브에 도막방수>단열재>난방배관>방통>사모래의 순서로 하면 되는것 같은데요.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게 새로 화장실을 만들때 벽체를 조적으로 새로 쌓을때는 원래 벽체가 없으니, 슬라브가 있더라도 바닥과 벽체가 동시에 방수를 할수가 없기에, 조적을 쌓고 단열재>난방배관>방통>도막방수를 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질문1-1) 아래 내용대로라면 벽조적 쌓고 벽미장한후에 바닥(슬라브)과 벽체를 도막방수해야 하는걸로 이해 하면 될까요?
질문1-2) 그리고 슬라브가 아닌 방통위에 도막방수를 하면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1-3) EPS단열재에 PE비닐이 없으면 방수테이프를 한다고 하더라도 방통이 EPS내부로 다 들어가 문제가 될수 있을것 같은데요. 화장실 단열재는 XPS로만 해야 하나요?
두번째, 슬라브나 기존방통이 없는 흙바닥의 경우에는 애초에 슬라브가 없으니, PE비닐>단열재>PE비닐>난방배관>방통>시다지>타일마감의 순서라고 생각했습니다.
첫번째PE비닐은 바닥의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깔아야 할것 같고, 두번째 PE비닐은 생략하고, 애초에 슬라브가 없으니
질문2) PE비닐>단열재>난방배관>방통>시다지>타일마감의 순서로 하면 될까요? 아니면 단열재를 깔기 전에 콘크리트나 방통등을 별도로 해서 슬라브 비슷무리 한것을 만들어서 도막방수후에 단열재>난방배관>방통>시다지>타일마감의 순서대로 해야 할까요?
이 것을 먼저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조적벽이 먼저 쌓인다면...
구조체 바닥과 조적벽을 한꺼번에 방수를 하시면 되세요.
1-2. 방통 위에 도막방수를 해도 괜찮습니다. 허용되는 방법입니다.
1-3. 방통 위에 방수를 하면 단열재와 방통 사이에 비닐을 넣어도 괜찮습니다. 비닐이 필요없는 경우는 슬라브 구조체 표면에 방수를 할 때입니다.
2. 흙바닥이라면 먼저 비닐+몰탈로 바닥을 먼저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요.
이 역시 그 몰탈층 위에 바로 방수를 할지, 방통을 타설하고 방수를 할지에 따라서 비닐의 역할은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위의 답변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