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화장실 방수와 난방 관련 질문입니다

G 궁그미 8 755 2023.07.24 14:24


반셀프인테리어를 도전하려 합니다

화장실은 꼼꼼하게 하고 싶어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요

제가 세운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면 캡처 2023-07-21 181253.png

 

우선, 위 건축도면에 따르면 외벽에 20mm 스티로폼을 단열재료 사용한 것 같습니다

그 앞에 0.5b 시멘트벽돌로 조적벽을 만들고

이후에 방수 시공을 한 것 같은데요

 

조적벽과 20mm스티로폼을 제거하고

100t XPS 단열재를 시공하고

표면에 메쉬미장 (혹은 전방수석고 부착) 후 방수 처리를 하려고 합니다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장실.png

 

난방배관도 넣으려다 보니 이래저래 대공사가 될 것 같습니다

 

1. 전방수석고보드 떡가베와 메쉬미장 20t중 어떤게 더 좋을까요?

(메시미장 두께 20t는 검색을 통해 산출했습니다)

 

2. 일단 벽 단열을 먼저 하려고 계획했는데, 공정은 몰탈방수를 먼저 하는게 편합니다.

(철거팀에서 고소리방수와 몰탈방수를 해주기 때문에)

조적벽과 스티로폼 포함 올철거 -> 방수몰탈 -> 도막방수 -> 벽단열+바닥단열 -> 벽에 전방수석고(or메쉬미장) -> 사모래(난방) -> 타일

이 순서로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단열 성능에 큰 차이가 없다면 이렇게 진행하는게 쉬울 것 같습니다

 

3. 사모래에 난방 배관이 들어가게 되는데, 바닥이 조금 더 낮았으면 좋겠습니다.

사모래층을 꼭 50t로 해야할까요?

50t라는 숫자는 다른분의 질문글에서 답변해주신 내용을 토대로 산출했습니다

 

4. 바닥 도막방수 위에 XPS 단열재를 부착할 떄

폼본드를 사용해 XPS 단열재를 붙여도 될까요?

 

답변 간절히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Comments

9 잡자재 2023.07.23 02:45
1. XPS에는 메쉬미장20T를 붙일 수 없어 전방수로 하셔야 합니다.

2.몰탈방수는 마음의 방수라 생각하시고 바닥에서 벽(전방수석고)까지 도막방수를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전방수 석고보드 조인트 부위와 바닥과 만나는 코너부위는 방수 부직포테이프를 꼭 적용해주세요.

조적벽과 스티로폼 포함 올철거 -> 몰탈 -> 벽단열 -> 벽에 전방수석고 -> 도막방수 -> 바닥단열 및 엑셀 사모래 -> 타일 순이 좋겠습니다
다만 엑셀 파이프 관통부위의 방수는 별도의 대안이 필요합니다.

3. 엑셀파이프를 어떻게 고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와이어메쉬에 임시고정하고 눌러주기 위해서 몰탈을 붓고 사모래 마감합니다. 필요한 구배에 따라서 50T가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4. 네 사용해서 들뜨지 않게 붙이셔도 됩니다
G 궁그미 2023.07.23 03:24
우선 답변 감사합니다
추가로 질문드리자면

우선 몰탈방수는 사실상 면정리로 생각하고 접근하려 합니다 이부분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막방수 철저히 하겠습니다

그런데 새로 생긴 의문은
와이어메쉬에 임시고정하고 눌러주기 위해 몰탈을 붓는다고 하셨는데
꼭 부어야 하나요? 그냥 사모래 채운 후 구배 잡고 바로 타일 시공하면 문제가 생길까요?
9 잡자재 2023.07.23 09:10
엑셀파이프가 억세서 들뜨기 때문에 고정시키기 위해 벽돌등을 올리고 몰탈을 사용합니다.
G 궁그미 2023.07.23 15:01
답변 감사합니다.

의문이 생겨서 다시 여쭤봅니다.
제가 사모래층 안에 몰탈 없이 난방배관을 넣을 수 있을거라 생각한 이유는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38044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48102

이런 답변 때문이었습니다
저 글에 달린 답변도 난방배관을 묻기 위한 몰탈시공을 전제로 한 내용이었을까요?
그게 아니라면, 제 시공방식과의 차이가 뭘까요?
G 궁그미 2023.07.23 15:10
뭔가 공정이 복잡해서 대화가 엇갈릴까 노파심이 생기네요
답변해주신 내용을 토대로 다시 정리해보자면

1. 조적벽 / 스티로폼 / 바닥 슬라브까지 올철거
2. 몰탈방수 (면을 잡기 위한 목적, 10t)
3. 벽과 바닥에 XPS 단열재 부착 (폼본드 사용)
4. 벽에 '고강도전방수석고보드' 부착 (떡가베)
5. 바닥 전체와 벽 모서리에 부직포 등을 사용한 도막방수 시공 (석고보드 조인트 포함)
6. 와이어메쉬 위 난방배관 체결
--------------------------------------
7. 사모래를 사용한 구배작업
8. 타일 시공

저는 이렇게 하려고 했는데
중간에 점선, 그러니까 6번과 7번 사이에 또 몰탈을 부어야 한다는 말씀이신지..
감사합니다.
9 잡자재 2023.07.23 17:27
넵 말씀하신 순서대로 가능합니다만 엑셀파이프가 와이어메쉬에 딱 고정이 잘 안되고 통째 혹은 부분적으로 들뜨게 됩니다. 이 엑셀파이프를 눌러주는 역할로 소량을 몰탈을 사용합니다. 전체에 몰탈을 부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G 궁그미 2023.07.23 18:48
제가 순서를 잘못적었네요
3번에서 바닥 xps는 도막방수 후에 붙여야겠네요
(xps에 도막방수는 불가능하니까)

답변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07.24 21:04
제가 답변을 놓쳤었습니다. 글을 두 번 올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위의 댓글과 같이, 엑셀파이프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조치가 선행되면 사모래층에 엑셀을 묻을 수는 있습니다. 두 번에 일을 나누어 해야 하나, 두께를 줄이려면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바닥의 XPS 도 별도의 접착은 하지 않습니다. 그저 최대한 작게 잘라서 바닥에 까는 개념으로 보시면 되세요. 즉 화장실 바닥의 단열은 그저 옵션이고, 주된 것은 방수와 구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