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외부 OSB합판 시공, 스트로베일 하우스

1 우아앙 11 570 2023.07.08 19:24

안녕하세요,

 

현재 저희가 스트로베일 하우스를 계획하고 있는데요, 아래와 같이 2"X4"구조목으로 이루어진 길이500정도의 기둥이 볏짚 한단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으로 스터드 월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볏짚 사이사이에 들어가는 기둥이 구조적 역할을 하기 위에 양옆에 OSB 합판으로  고정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래 이미지 처럼 외부로 OSB단면이 접하게 되어, 햇빛에 노출 되는데, 자외선에 의한 변형이 걱정됩니다. 

또한 장마철에 습기가 올라오게 되면 습기에 의한 변형이 염려되기도 합니다.

 

다만, 볏짚 자체적으로도 습기 조절능력이 있으므로, OSB합판의 변형을 막아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 되기도 합니다.

 

Q1. 습기를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OSB합판 단면에 우레탄도장을 칠하는 것, 혹은 방수테이프를 붙여주는 것, 혹은 내수합판은 하나 덧대어 시공하는 방안을 검토중인데요.

어떤 방안으로 하는 것이 적절해보일지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로, OSB합판중 캐나다산이 외부용이 있다고하여, 이 자재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추가로, 

Q2. 방수턱 위에 볏짚이 올라가는데 기초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방수시트를 깔아주었는데요. 방수시트를 깔면 굳이 씰실러는 추가로 깔지 않아도 되겠지요?

 

 

KakaoTalk_20230708_185934790.jpg

Comments

M 관리자 2023.07.09 16:38
안녕하세요.
건축물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주거/근생/전시 등등
내외부 마감재로 렉산을 선택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처마는 있는 형식인가요? 있다는 4면에 다 있나요? 그리고 돌출 길이는 어떻게 되나요?
단층인가요?
바닥난방을 하는 건물인가요?
스트로베일을 채우시려는 주된 목적이 무엇인가요?
1 우아앙 2023.07.10 10:01
용도는 주거(스테이)입니다.
내외부 마감재 렉산 선택 이유는 기존의 황토미장 방식이 아닌 스트로베일 단면이 내외부에서도 보여지도록 계획하였습니다.
600정도 길이의 처마가 있는 형식이며, 상부에 후레싱으로 물끓기를 해주었습니다.(통기 가능) 2면만 스트로베일이며, 나머지 2면은 적삼목 마감입니다.
바닥난방하는 건물입니다.
주된 목적은..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농사를 짓고 있는 건축주께서 이 곳만의 아이덴티티를 살려 설계를 해줄 것을 요청해주셨고, 디자인 검토 과정 중에 볏짚을 이용한 디자인이 선택되었습니다.
또한, 황토미장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면, 새로운 형식의 스트로베일 하우스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M 관리자 2023.07.10 18:34
조금 장문의 글이어야 하나, 최대한 간략할 수 밖에 없음을 미리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
저는 스트로베일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만, 의도하신 바가 있으므로, 그저 이 구성에서 예상되는 문제점만 말씀드리겠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를 조인트로 연결한 부위는 밀폐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습기(수증기)의 입장에서는 열려 있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실내의 수증기가 구조체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문제는 외부가 다시 폴리카보네이트라서, 겨울철 구조체의 외부측에서 심각한 결로와 곰팡이가 생기게 됩니다.

아래 주택이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을 한 경우입니다.  준공된 지 2년이 채 안되서, 외장을 다 철거하고 다시 시공을 하였습니다.

그럼 도심의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을 한 일반 건물은 왜 수년이 흘러도 멀쩡한가? 라고 반문을 하실 수 있으신데요..
주거시설과 비주거시설은 겨울철 실내 습도(엄밀히는 수증기압)의 차이가 큽니다. 비주거건물은 밤에 잠을 자지도 않고, 요리도 하지 않으면서, 빨래를 말리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비주거는 이렇게 마감을 하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인가?... 이 것도 아닙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의 성질과 유사해서  단파장은 태양에너지가 단열재 쪽으로 들어오면, 이를 다시 배출할 수 없는 물질입니다. 그래서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된 건물은 여름에 혹독할 정도의 더위를 친구삼아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것을 피하고 싶다면,
1. 실내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외하고, 방습층+별도의 마감재 구성
2. 실외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외하고, 투습+방수층+별도의 마감재 구성
을 하셔야 합니다.

처마조차 없다면 1년 안에 망가지겠지만 처마가 있기에, 그래도 망가지는데 2~3년 정도는 걸릴 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 질문 주시어요.
1 우아앙 2023.07.10 20:27
그렇군요, 장문의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내부 폴리카보네이트가 열려있는 구조이지만, 스트로베일 하우스 관련 자료를 보면 스트로베일 자체적으로 습도조절능력이 탁월하다고 하여서요. 습할때는 수증기를 머금고 건조할때 다시 발산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에서 말씀하신 결로현상이 자연적으로 해결될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스트로베일을 신뢰할 수 없는것이지요?

실내 혹은 실외 마감이 기존방식의 황토미장이라면 말씀해주신 우려사항을 조금은 해결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스트로베일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면 좋겠는 이유가 무엇인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마지막으로.. 캐나다산 OSB합판일지라도 습기에 약하므로, 내수합판 사용이 더 좋지요?
M 관리자 2023.07.10 20:56
스트로베일은 신뢰할 수 있습니다. 스트로베일의 조습능력을 신뢰할 수 없을 뿐입니다.
실내가 황토미장이라도 같습니다. 그 역시 투습소재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외부에서 불투습층을 형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제거 되어야 합니다.

스트로베일은... 과학적 계산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과거의 느낌적 느낌, 혹은 괜히 친환경으로 보일 것 같은 근거없는 기대감.. 으로 사용될 수는 있으나,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하는 현대건축에서는 그 자체가 아닌, 무언가 다른 소재로 재구성(리빌트)된 소재여야 합니다.

내부에 들어가는 목재는 그 자체의 건전성 보다는 구성이 가지는 건전성을 보셔야 합니다. 구성조건이 건전하면 그 내부의 자재로 건전성을 보장 받을 수 있으니까요.

아래 글 내용 중에서 건식구조 편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988
1 우아앙 2023.07.10 21:36
도움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여쭙겠습니다.

그렇다면, 말씀해주신 내용을 참조하여,

Alt01 실내 폴리카보네이트(투습) + 실외_황토미장(투습/방수)
Alt02 실내 폴리카보네이트(투습) + 실외_osb/투습방수지/레인스크린/별도마감재

이와 같은 대안은 좀 나아질까요? 혹여, 첫번째 답변에서와 같이 이 같은 방법도 2-3년 안에 망가질 것이라 예상하시는 거지요?

Alt02의 경우 스트로베일이 일방향 가변형 방습지의 역할을 대체할 수 없으므로, 역결로 현상은 막을 수 없겠지요?
스테이로 운영될 예정이라, 일반적인 주택보다는 습기가 덜하지 않을까 예상하는데요...(세탁실 및 요리공간은 별동에 있습니다. 오로지 침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M 관리자 2023.07.10 21:46
두가지 대안 모두 실내측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조인트 등 디테일을 얼마큼 정교하고, 건전하게 설계/시공되느냐에 달려 있을 것 같습니다. 그게 된다면 거의 유사한데.. 외부의 영향으로 부터의 장기적 안전성을 본다면 2번 안이 더 낫습니다.

냉방 기간이 길지 않기에 역결로는 거의 없을 것 같긴 합니다만,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라면 실내측 속에서의 얼룩 등과 같은 오염은 그리 오래지 않아서 생길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조인트에 방습테잎을 먼저 시공하고, 그 위에 고정용 몰딩을 대는 것이 나은 구성일 될 것 같습니다.
1 우아앙 2023.07.10 21:47
추가로, 건물의 형태가 외박공형태인데요,

높이 2100정도만 스트로베일이 올라오고,
그 위로는 일반 목구조 형태입니다.

혹여, 이같은 경우에 내부 습기를 상부 벽과 지붕층에서 해결 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말씀해주신 우려사항이 좀 나아질까요?
M 관리자 2023.07.10 21:49
그렇지는 않습니다.  증기는 확산 속도가 빨라서 특정 부위에서의 해결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1 우아앙 2023.07.10 21:52
아 그렇군요,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M 관리자 2023.07.10 21:5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