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역전지붕과 내단열에 대한 질문입니다.

G 인트루김실장 5 2,387 2023.04.13 17:15

잡자재에서 배포중인 역전지붕 설계 상세도를 보면서, 신축이 아닌 인테리어 시공시, 의문점이 몇개가 생겨서 질문드리려 합니다.

소중한 자료 공유해주신 잡자재와 역전방수 전문기업 티푸스에게 감사 드립니다.

1.png

 

1.bitumene이 뭔가요? 검색해도 없길래 bitumen으로 검색하니깐 아스팔트 방수액 같은게 나오던데요.

내수합판을 시공하고 그위에 아스팔트 방수액을 1.5mm 두께로 시공하라는 말씀인가요?

그렇다면 우레탄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등 원래 옥상에 방수했던 방수재료나 고마스등의 다른 방수재료로 시공하면 안되나요? 안된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2. 내수합판이라는것이 태고합판처럼 코팅된 합판이 아니라 방수액을 바른 합판을 말씀하시는거죠? 어짜피 합판위에 다시 방수처리하는데, 태고합판이나 일반합판 또는 OSB는 안되나요? 안된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3. 꼭 시트방수로 치켜올려야 하나요? 옥상 방수를 우레탄방수로 했다면 우레탄방수로, 또는 도막방수로 하면 안되나요? 안된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4. 글라스울이라는게 보드형태의 글라스울이 아니라 롤로 파는 좀더 낭창낭창한 솜형태의 글라스울로 채우라는 말씀인가요? 혹시 우레탄폼으로 시공하면 안되나요? 이건 안된다면 이유를 알것 같기도 합니다.


5. 합판을 고정할수 있는 철물 구조를 만들어서 파라펫 상단에 앙카로 고정하는것 같은데요. 이 구조를 꼭 철이나 알루미늄같은 금속류로 제작해야 하나요? 위에 방수 층이 있기 때문에 타카는 무리겠지만, 내수각재로 구조를 짜서 칼블럭등으로 고정하면 될것 같아서요. 안된다면 이유가 궁금하고요. 

이 구조물 제작 또는 시공법에 대한 자료를 볼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그리고 알루미늄이나 강판등으로 마감하는데, crc보드를 측면->상단순서로 수달실리콘과 스텐피스로 부착하고, 역시 수달실리콘으로 틈을 막은 후에 수성페인트 도장하는걸로 마감하면 안될까요? 안된다면... 뭐 이것도 알것 같기도 합니다.

 

2.png

6. 역전방수로 옥상까지는 외단열을 했을 경우, 이런 저런 이유로 외단열이 힘들 경우에는 천장에는 450폭의 30mm XPS를 결로곰팡이방지용으로 부착하고, 벽에는 100mm 내외로 내단열을 하는 것이 그나마 최선이겠죠?

 

7. 작은구경의 기존관이 바닥 또는 내부를 통과해서 있는 경우에, 기존관은 2중방수 역할을 하게 하고, 그림처럼 파라펫 벽을 새로 뚫어서 새로운 배관을 만들어서 역전방수를 하면 되겠죠? 만약에 안된다면 이것도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10 잡자재 2023.04.13 19:15
1.시트방수재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하나는 아스팔트계열, 하나는 부틸계열입니다.
bitumene은 아스팔트 계열을 의미합니다. 부틸을 쓰셔도 괜찮습니다만 더 비쌉니다.^^
도면상에서는 1.5T 두께의 아스팔트 계열 시트방수지를 의미합니다.
파라펫상부에는 원래 델타멤브레인이 들어가야하지만 면적이 작아 부직포가 붙어있는 옥상용 시트방수지를 권장합니다.

고뫄스는 내후성 측면에서 경화가 일어나기에 적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우레탄방수는 벽용과 바닥용을 구분하여 3mm두께로 시공되기가 쉽지 않기에 일정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방수를 권장드립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이 모든 방수제들이 투습이 안되기에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6~8%미만인 경우에만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저희 잡자재에서 투습방수 도막형 방수제를 런칭 준비중에 있습니다. 아마도 런칭은 7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2. 물은 합판 상부의 방수시트로 인해 처리되지만 습기로 인한 내구성 측면에서 OSB보다 내수합판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태고합판도 강하지만 더 비싸니까요.

3. 벽용 우레탄을 구분하여 사용하면 적용 가능합니다.

4. 이건 저희도면이 아니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5. 저도 그렇게 시공했었습니다. 방부목으로.... ^^;
다만 아시다시피 내수각재와 방부목 둘다 수명이 영구적이지 않다보니 아연도각관이 맞는 것 같습니다. 방부목으로 시공한지 10년정도 되었는데 아직 문제는 없습니다.^^;

이 구조물 제작 또는 시공법에 대한 자료를 볼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구조체에 틀을 튼튼하게 고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사진자료를 한번 찾아봐서 있으면 올려드리겠습니다.

상판으로 CRC를 사용하신다는건지요?
 
6. 넵

7. 기존관을 통해 대류가 일어나 구조체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음으로 기존관의 외부분에 역류방지 댐퍼를 달아주는게 좋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리자님이 채워주실거라 믿습니다. ㅎ
G 인트루김실장 2023.04.13 19:38
답변 감사합니다~ 대부분 이해가 되었습니다~
4번은...  위의 도면 모두 잡자재에서 배포하는 도면입니다. 두번째 도면은 제가 포토샵에서 수정했지만... 암튼 우레탄폼을 쓰면 안될거라고 생각하지만... 쓰면 편하니깐... 혹시라도 쓰도 될까해서 여쭈어 본겁니다 ㅎㅎㅎ
5. 상판으로 CRC를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자재로 다른 공정에 사용가능한지를 자꾸 물어보는건... 짐작하셨겠지만... 공정이나 자재를 하나라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ㅎㅎㅎ 우문에 성심껏 대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0 잡자재 2023.04.13 20:29
안녕하세요. 김실장님 ㅎ
아마도 티푸스의 도면인 것 같습니다. 저희는 그라스울을 안쓰거든요. ^^;
내수합판 대신 CRC를 사용하신다면 밟고 올라가는 등 충격에 의해 박살날꺼에요 ㅎ 물론 두툼한 걸로 투피 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일이 더 느실꺼 같습니다. ㅎㅎ
G 인트루김실장 2023.04.13 20:36
아.. 그렇군요. 헷갈렸습니다. 이것저것 보다가 헷갈린것 같네요 ㅎㅎㅎ 제가 말한 상판이란... 합판대용이 아니라 알루미늄이나 강판대신을 말하는거였습니다 ㅎㅎㅎ 즉 최종마감재로 CRC를 사용하면 안될까 하는 말이었습니다. 벽체에 CRC로 마감하니깐 그냥 그걸로 전체를 상부까지 마감해도 되지 않을까 해서요 ㅎㅎㅎ 그런데 그렇네요.. 내구도가 좋지 않겠네요. 감사합니다~
10 잡자재 2023.04.14 06:51
넵~^^ 감사합니다. 인트루김실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