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치유형구체방수 관련해서 질문 올립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자가치유형구체방수 관련해서 질문 올립니다.

 지하랑 옥상에 자가치유형구체방수가 적용된 골조로 설계에 반영할ㅇ 예정입니다

자료는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이제품 외에 베스톤이라는 (제가 알기로 일본제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품이 있습니다

 

사실 베스톤은 대구에 한 연수원에  적용한적이 있는데 준공후 하자가 있는지 없는지 알아볼 연이 없어서 ㅎㅎ

담당주무관님이 다들 자리이동을 하신터라 알수는 없는데 

준공후 4~5년 정도까지는  통화하면서 이상없다고는 하셨어요 그후는 아직^^ 모르겠네요

 

혹시 이자료 참조하시어 이제품을 

"옥상방수 열화방지 공법"에 사용 할수있지 않을지 하여 질문드립니다.(시트방수 제외가능할까해서..)

 

비용적인 부분은 비싸지만 부대공정이 없어 괜찮지 않을지 궁금합니다^^

 

2020년인가 그때 "역전지붕"의 명칭을 변경까지 해주셔서 기술자료집에 올려주신 소규모 

"건축물 품질향상 가이드라인v2.1" 덕분에 만족할만한 시공성과는 아니었지만 (시공사의 능력이 절실하다고 느꼈던 한해였었습니다 ^^) 문제가 되었던 감리 및 시공사와 별탈없이 공사완료 되어 많이 늦었지만 감사드립니다. 항상 좋은 자료 많이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한번 이렇게 설계하고 나니 임대용 소규모 근생도 자꾸 열교 차단재, 화스너 , 등등 적용할려고 머리가 , 손이 움직여요^^ 문제죠

그래서 건축주한테 이야기도 해봅니다만  크게 금액은 차이가 나지 않느다고 하지만 건축주는 "머니머니~" 하고 "주거용으로 내가 살것도 아닌데 그렇게까지 해야 할까요??"라고 하며 질문을 주셔서  쫌 그렇기도 합니다

임대형 소규모근생은 그냥~ 그냥~  건축주 의견 따라 그냥!그냥~  설득이 않되면 일반적으로 설계 해야 겠지요?^^ (지붕만은 꼭 반영할려고 합니다 그래서 같이 아래 첨부한 방수재사용이 전문가 입장에서 어떨지 문의 드려봅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2.11.16 19:59
안녕하세요.

이게 방수재를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토목용구조물은 누수가 생겨도 당장 큰 문제는 일어나지 않으며, 달리 방수의 방법도 마땅한 것이 없기에.. 누수 후에 서서히 균열이 메워지는 이러한 제품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건축물의 경우 누수가 일단 일어나면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입기 때문입니다. 즉 이와 같이 시간차를 두고 균열을 메우는 제품은 최소한 건축분야에서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건축은 전문 방수제품이 적용되는 것이 맞습니다.

시트방수의 비용이 어려우면.. 최근에 알아본 제품 중에서 Sika Raintite 라는 아크릴계 도막방수도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1 세발이의하루 2022.12.12 23:16
네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