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콘크리트조 외단열 징크지붕 시공 방법

G 김희준 5 3,207 2022.09.29 09:32

콘크리트 구체 슬래브의 면을 잡는게 한계가 있어

각관 작업후에 우레탄폼으로 지붕 외단열을 하고자 합니다.

 

우레탄폼 단열재의 단점이 경화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크랙이발생될 수 있고 가연성이라 협회에서는 권장하지 않는다는

글을 보고 이해했습니다.

 

1.우레탄폼과 합판사이 처마에서 용마루 방향으로 설치되는 각관으로 만들어지는 통기공간으로 합판과 금속징크사이의

앰브레인을 삭제해도 될까요? 마감판의 꿀렁거림이 우려된다고 실리콘으로 고정을 시키는게 어떤지 하는 시공자의 의견

이 있어서요

 

2. 방수투습시트가 1번에 위치하면 2,3번은 별도의 처리가 필요없을까요?

 

3. 용마루 후레싱 부분에서 통기구멍을 열여 두어야하는건가요? 마감에서 보면 돌출이음부 간격 사이를 접어도 틈새가 생

기긴 하는데 그걸로도 통기는 충분할지 모르겠네요. 용마루 후레싱을 덮을때 돌출이음 사이를 접어내릴지, 일자로 없혀두

는게 나을지요.

 

4. 처마 하부에도 통기구멍이 필요하다면 외장마감과 처마하부의 유격이 생기는 5mm이내의 벌어짐을 실리콘 작업을 하지않고 두면 그 부분으로 통기기능을 할 수 있는건지요. 

 

5.콘크리트조도 목조와 같이 지붕 내 통기가 중요한건지요

Comments

M 관리자 2022.09.29 19:22
1. 멤브레인의 역할은 철판의 부식을 막는 용도이므로 제외될 수 없습니다. 다만 합판 위에 사용되는 방수시트 표면에 부직포가 붙어 있는 것은 (비록 규정에는 없지만)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지금 순서에서 방수시트가 빠져 있습니다. 올바른 순서는 위에서 부터
금속지붕 - 멤브레인 - 방수시트 - 내수합판 입니다.

2. 1번에 들어가는 시트는 투습방수시트가 아니라 방수시트입니다. 투습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3. 용마루에 통기구를 열어 두어야 합니다. 지금의 그림에서 달라질 것은 없으나 아래에서 접어서 위로 올리는 시트의 틈새가 표시되지 않기에, 작업하시는 분에게 별도로 언급을 해야 합니다.
위에서 접어 내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4. 없는 것 보다는 낫겠지만 길이 방향으로 15mm 이상이 권장됩니다.,

5. 지붕 내 통기는 필요로 하지 않고, 이는 목구조에서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방식입니다.
G 김희준 2022.10.04 23:12
답변 말씀 감사합니다.

1번 방수시트는 합판위에 어떻게 고정을 시키는지요? 타카 치면 방수가 찢어지는거 아닌지해서요. 또한 그 방수 시트 위에 멤브레인은 뭘로 고정시키는지요.

34,번 답변으로는 용마루에 통기구를 열어두고 처마하부도 15mm 이상 열어두는게 맞다고 이해를 했는데, 5번 답변의 지붕 내 통기는 필요하지 않다는건 어떤 의미인지요. RC 구조의 지붕 슬라브 외단열 부위부터 징크 하부까지의 공간 중 처마에서부터 용마루까지 통기 공간이 있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22.10.05 00:25
1. 방수시트는 자착식이라서 뒷면에 끈적이를 합판에 직접 붙이게 됩니다. 금속지붕을 고정할 때 나사못을 고정을 합니다만, 경사지붕이라서 이 부위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삼각형 지붕 내의 공간 (다락과 같은 공간)의 통기가 필요없다는 의미였습니다.  말씀하신 마감재 하부의 통기는 필요합니다.
G 김희준 2022.10.07 07:59
1. 용마루 부분은 합판과 방수시트로 차단이 되는건가요?

그럼 합판 하부의 통기층공간은 통기에 문제가 없을지 궁금하구요.

2 이럴경우 .A부분은 금속징크판과 방수시트 사이의 맴브레인 통기 기능만 가지고 가면 되는건가요?

1안은 멤브레인을 설치하고 A에서 물이 들이칠수도 있는 걸 감안하여 열어두고 방수시트로 흘러 처마 끝으로 물이 떨어지게 한다.

2안은 말씀하신 표면에 부직포 형태의 방수시트에 징크판을 밀착 시공하고 용마루 틈새 A를 실리콘으로 물이 들이치는걸 막는다.
M 관리자 2022.10.07 23:48
통기층은 단열재의 상부에서 흐르는 공기가 용마루로 빠져 나가는 구조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해당 꼭지점은 합판과 방수시트가 모두 열려져 있어야 합니다. 즉 그 속으로 소량의 빗물이 들어가는 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