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우레탄 뿜칠이겠죠! 기밀로만 보면 석고보드만 잘 시공해도 기밀층은 형성이 됩니다. 물론 방습층은 아니지요.
단순한 비교로 생각하시겠지만 다른 독자를 위해 언급을 하자면 목조와 우렌탄 뿜칠 단열시공은 맞지 않는 시공입니다. 특히, 목조가 친환경이라 하면서 우레탄을 뿜칠 시공합니다.
이것이 거주자에게 전혀 해가 없는 제품이라 할지라도 광의의 환경해석에서는 분리가 어렵고 재활용이 어렵기에 친환경이지 못한겁니다. 즉, 우리 사회라는 전체적인 것을 고려하면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목조를 하는 분들의 자존심이 되어야 하고 원칙이 되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면 어떤 나라에서 주로 이 시공방법을 하는지 알 수가 있는데 그 결과를 보면 왜 이런 말을 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설령 다른 단열재를 선택해서 시공비가 올라가더라도 목조에 합당한 단열재를 설치한다면 그게 원칙이 그리고 장인정신이 있는 나라이고 선진국입니다.
단순한 비교로 생각하시겠지만 다른 독자를 위해 언급을 하자면 목조와 우렌탄 뿜칠 단열시공은 맞지 않는 시공입니다. 특히, 목조가 친환경이라 하면서 우레탄을 뿜칠 시공합니다.
이것이 거주자에게 전혀 해가 없는 제품이라 할지라도 광의의 환경해석에서는 분리가 어렵고 재활용이 어렵기에 친환경이지 못한겁니다. 즉, 우리 사회라는 전체적인 것을 고려하면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목조를 하는 분들의 자존심이 되어야 하고 원칙이 되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면 어떤 나라에서 주로 이 시공방법을 하는지 알 수가 있는데 그 결과를 보면 왜 이런 말을 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설령 다른 단열재를 선택해서 시공비가 올라가더라도 목조에 합당한 단열재를 설치한다면 그게 원칙이 그리고 장인정신이 있는 나라이고 선진국입니다.
글라스울도 밀도에 따라 기밀도가 다릅니다만, 이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홍도영 선생님 말씀 새겨듣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