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내수합판벽체 마감시공 및 내부단열재시공 문의드립니다.
항상 피코넷에서 정보많이 얻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1. 내수합판에 와이어매쉬붙이고 백시면트로 1차 작업을 종료 했습니다. 이후 드라이비트로 흰 벽체부분 마감을 드라이비트로 할 예정입니다.
선생님들 목구조 방습/투습 편에서 방습 투습지에대해서 설명을 하셧는데 드라이비트에 투습지 시공은 못할꺼같아요.
수합판 마감은 1차 백시멘트 시공 완료 2차는 드라이비트 시공예정입니다.
내부는 연질우레탄폼 및 글라스울로 단열 후 가변형방습지를 시공해도 문제가없을까요?
2. 한옥은 너무 기밀하게 시공하면 오히려 하자가 발생한다는 말을 듣긴했는데
지붕단열은 양철 속에 수성연질폼 시공 완료 했구 당골막이부분도 기밀하게 잘 처리했습니다.
집천장은 서까래가 보이게 오픈천장으로 리모델링할예정입니다.
벽체도 수성연질폼으로 할까했는데 한옥은 너무 기밀하게 시공하면 오히려 하자 발생하신다는 말을 듣고 글라스울로 할지 연질폼으로 할지 고민입니다.
건축상식이 부족해 영상으로 공부를 해도 항상어렵네요.
도움부탁드려요 ㅜ
외부 단열재 두께는 얼마이고, 내부 수성연질폼 두께는 얼마인가요?
그 보다는.. 기밀한 집이 습기를 고려하지 않으면 더 나빠질 뿐입니다.
즉, (가변형)방습층을 하지 않고, 기밀하게만 하면 문제가 생기며, 그 반대인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실행하셔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