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외단열미장마감공법에 비드법 1종 2호를 쓰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세발나무늘보 6 5,507 2014.09.26 21:09
단열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의 열손실을 줄이고, 밀도 높은 단열층을 만들기 위해, 외벽 단열재를 비드법 1종 2호 200mm와 비드법 1종 3호 50mm를 두 겹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지요?

 비드법 1종 2호를 이미 주문한 상태인지라, 궁여지책으로 이와 같은 방법을 생각해 냈습니다만, 바탕면 콘크리트 외벽과 1종 2호의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역시 좋은 방법은 아닌듯 합니다.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4.09.27 12:02
안녕하세요..
원칙은 “KS F 4716 시멘트계 바탕바름재” 에 의한 시험을 통해
- 부착강도 (표준양생) : 1.5 N/㎟ 이상
- 부착강도 (저온양생) : 1.2 N/㎟ 이상
을 증명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 세발나무늘보 2014.09.28 23:26
답변 감사합니다.

단열재 주문을 새로 하게 되었습니다. 외단열미장마감공법에 적절한 단열재는 밀도가 15에서 18인 단열재인데, 그것은 비드법 1종 4호입니다. 1종 3호는 밀도가 20이상 입니다. 하지만 관리자께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비드법 1종 3호는, 원래 밀도인 20보다 더 낮기 때문에 비드법 1종 3호까지 괜찮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제가 단열재를 주문하려는 곳은 강원도에서 가장 큰 단열재 공장으로, 원주 문막에 소재하고 있는데, 밀도를 정확히 지켜서 정품 단열재를 만든다고 합니다.

정확한 밀도를 지켜서 생산하는 공장에서 주문하는 것이라면 비드법 1종 4호(밀도 15 이상)를 주문해야 하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참, 암면은 비를 맞으면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암면은 수분 증발을 잘 시킨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M 관리자 2014.09.29 10:33
네... 그런데. 시기 적으로도 늦어 보입니다.
외단열미장마감용으로 사용하실 거라면 이미 오래 전에 주문을 해서 숙성을 시켜 놓았어야 했습니다. 걱정이네요...
혹시 그 회사에서 7주 숙성 재고품이 있는지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밀도가 맞는 3호를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오히려 부착방식에 유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착 방식 등을 조금 쉽게 정리한 글은 아래 링크의 첨부파일을 보시면 되실 듯 합니다.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51

감사합니다.
1 세발나무늘보 2014.09.29 10:59
정말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14.09.29 12:07
암면이 비에 맞으면 안되는 것은.. 암면 뿐만이 아니라.. 외피의 속에 들어가는 건축 자재가 다 동일한 듯 합니다.
불가피한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가급적 비에 노출되어서 좋을 것은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 세발나무늘보 2014.09.29 12:57
잊지 않고 대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