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관리자님.....ㅎ
3층높이의 단독주택(1층 지상주차장+2층, 3층 주거공간)의 외단열을
"사각각관+OSB+비드법단열재(이지블럭) 200t+암면50t(또는 비드법단열재 50t)+벽돌타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외단열에 타일마감시 "비드법단열재+바탕몰탈+메쉬+마감몰탈+벽돌타일 붙임"으로 시공되는 걸로 아는데요. 암면도 비드법 단열재와 똑같이벽돌타일 마감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암면+벽돌타일" 형태가 가능한지요?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이지블럭의 외측에 암면단열재를 추가하시려 하는 것은 내화성능을 높이시려는 것 같은데요. 혹시 다른 이유가 있으신가요?
이지블럭을 콘크리트에 적용시 밀착이 잘되어 콘크리트와 동일하게 신축하지만
건식구조에서는 구조체와 이지블록이 다소 다른 신축량으로 인해 마감재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측으로 50mm비드법단열재를 부착하고 마감을 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여기에 가설위치에 야산이 인접해 있어 이왕이면 암면으로 시공시 화재에 대한 위험이 낮아 질 것이라는 의견을 받았습니다
암면도 메쉬 미장이 되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 하단의 그림에 개념이 잘 나와 있습니다.
https://facade.agrob-buchtal.de/en/etics
혹시 비드법단열재 사용할 때와 같은 메쉬미장인거죠?
혹시 추천할만한 국내제품은 없을까요
KCC 에서 미장이 가능한 암면이 나오는데요. 해외 제품에 비해서 흙손의 "손맛"이 조금 거치다고 하더라고요. 쭉쭉 밀리는 느낌이 안 나온다는 말은 들은 적이 있는데요.
KCC 측에서도 최근 개선을 했다라고 했었습니다.
한번 알아 보시고, 혹시 잘 구해지지 않으며, 제가 KCC 본사에 문의를 해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각종 시방서와 도면도 있구요
여기서 한가지 더 여쭙겠습니다
카다로상에는 밀도가 80k, 100k, 140k가 있는데요
벽면은 이지블럭200t+미네랄울 50t+벽돌타일
지붕은 이지블럭200t+미네랄울 50t+통기지붕을 구성할때 각각 어느밀도를 사용해야하는지요?
통기지붕의 경우, 미네랄울이 하중을 받는 다면 100k 이상이 요구됩니다.
그렇다면 80k도 가능한 건가요?
하나더 여쭌다면...비드법단열재와 같이 밀도가 낮은 것이 접착력에서 유리한가요?
샌드위치판넬주택 외단열 미장 시 두께 2인치 또는 100mm 암면을 부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 가이드 부탁드립니다.
불행히도 직접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저 한 가지 유일한 방법은 6mm CRC보드를 셀프스크류로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을 하고, 그 위에 암면을 접착 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RC 보드 1200x2400 한 판을 기준으로, 셀프스크류는 가로 3개, 세로 6개는 박아 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회원사인 모던코트에서 좀 더 검토를 해 주셨고,
판넬 강판(0.8t) 위에 좋은 폼본드와 충분 수량의 단열스크류로 100t 이소바암면 부착 후 미장/스타코 공정 진행 제안을 주셨습니다.
강판에의 직접 부착 시 지지력 때문에 CRC보드가 불가피하다고 하시면,
미트하임 EPS로 바꿔도 CRC보드 필요성은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는지, 바쁘신 분께 죄송하오나 의견 부탁드립니다.
그게 시공을 할 때는 보통 현장에서 이야기하는 "짱짱하다"로 보일 수 있겠으나, 장기적인 자연의 힘은 손으로 단열재를 뜯는 거에 비할 바없이 크기에, 그렇습니다.
그리고, 폼본드로 단열재의 접착이 가능하나, 문제는 철판위에 붙어 있는 도장이 벗겨지려는 힘이 더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접착은 장기적 의미가 없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 모든 것을 확신할 수 있는 데이타가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제 말이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 괴로울 뿐입니다.
즉 도장의 접착력이 폼의 접착력보다 더 작은 것은 확실한데, 그게 얼마큼 더 작은지를 전혀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계산도 안되고, 추정도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