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사 단열재 시험성적서에 아래 와 같이 나와있습니다.
포그니 100T 0.14 w/m2k
아래 질문에서 열관류율값을 열전도율로 변환할수 없다고 하셨는데요..
부피형단열재와 비교검토를 할려고 하는데.. 어렵네요.^^
보통 부피형 단열재는 w/mk 로 열전도율로 나와있습니다.
그럼 서울 외벽일 경우 법적 0.27 w/m2k 이하 입니다.
1. 그럼 0.27- 0.14 = 0.13 w/m2k 로 해당 단열재를 제외하고 구체와 별도의 내단열(부피형단열재)
로 열관류율을 계산해서 0.13w/m2k 를 맞춰주면 되는것인지요?
2. 해당 홈페이지이를 가보니..(http://www.lowe.kr/)
위에 포그니 100T ( 0.14 w/m2k) 를 사용하면 패시브주택 기준에 적합하다고 나와있는데
이게 말이 되는애기 인지요??
1. 열관류율은 숫자가 작을 수록 높은 성능입니다.
그러므로 제시하신 0.14 W/㎡K 은 이미 중부지방 0.27W/㎡K 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즉, 더 이상 추가할 것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2
이 글을 참고하십시요..
2. 국가 공인시험성적서에 의해 나온 값이므로 맞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층형열반사단열재라 하더라도 표면의 성능에 대해서는 다툼의 소지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한겹이 25mm 라고 한다면 100T 는 네 겹이므로, 0.14W/㎡K 의 성능을 목적으로 하신다면 다섯 겹짜리를 선택하시는 것이 안전하십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148
이 글을 참조하십시요.
** 그리고 패시브주택의 기준은 단순 열관류율만이 아니라, 단열재 사이 사이에 외장재를 달아 매기 위해 들어가는 철물까지를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패시브주택은 어떤 단열재만의 성능이 중요하기 보다는 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냐가 더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계속해서 기술자료를 보고있는데 제가 이제보니 숫자에 참 약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